컨텐츠 바로가기

01.02 (목)

무안 참사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철저히 분석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9일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에 따른 기체 고장이 지목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 조류 충돌만으로는 대형참사가 벌어지기 어렵다며 사고 원인에 대해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아시아경제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해 승객 대부분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행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사고 기체 잔해가 놓여 있다. 강진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4분께 무안공항 1번 활주로에 접근한 사고 여객기는 1차 착륙을 시도했다. 무안공항 관제탑은 이은 57분께 조류 활동(조류 충돌)을 주의했고, 사고기는 곧 재상승해 복행했다.

이어 2분 후 59분께 조난신호 '메이데이'를 보낸 사고기는 9시께 당초 착륙해야 하는 방향(01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다. 그리고 3분 후인 9시3분께 랜딩기어를 내리지 않은 채 이 활주로에 착륙했다. 사고기는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공항 끝단 구조물과 충격 후 동체가 파손돼 화재가 발생했다.

항공 전문가들은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점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고 봤다.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비행기는 여러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데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이 역추진하며 에어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날개 위판들이 들려야 하는데 이것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러 전문가들은 랜딩기어 미작동 원인으로 조류 충돌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은 "갈매기 등 새들이 엔진으로 들어가면 엔진도 망가지고, 거기에 연결된 유압시스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유압 시스템이 이착륙할 때 랜딩기어를 올리고 내리는데 그 부분이 망가졌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황호원 한국항공대학 항공우주법학과 교수(한국항공보안학회 회장)는 "직접적으로 새가 랜딩기어에 부딪힌 것은 아닌 거 같고, 새가 엔진에 들어가 타면서 랜딩기어를 내리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조류 충돌로 한쪽 엔진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엔진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랜딩기어가 작동할 수 있었다며 모든 엔진의 결함 가능성을 지적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유압장치가 다 고장 나도 보조 장비가 있을 텐데 그 작동이 시간이 걸린다"며 "사고 나기까지 3~4분도 안 걸렸을 텐데 보조 장치 작동에는 최대 15분까지 걸린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에 따른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대형참사가 벌어지기 어렵다며 사고 원인이 조류 충돌인지, 기체 결함인지, 정비 불량인지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무안국제공항의 짧은 활주로가 사고 피해를 키웠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무안공항 활주로는 2800m로, 그전에도 항공기가 운행했다"며 선을 그었다. 무안공항 활주로는 인천공항(3750~4000m), 김포공항(3200~3600m) 보다는 짧지만, 다른 국제공항인 청주공항(2744m), 대구공항(2755m)보다는 길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