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KB도 전년 수준 이상 관측
퇴직금 규모 줄었지만 대상 늘고
금리인하로 실적 하향 불안 원인
5대 시중은행의 올해 희망퇴직자 수가 지난해 수준을 훌쩍 뛰어넘을 전망이다.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기술을 앞세워 비대면 확장에 나선 은행들이 몸집을 줄이고 나서면서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4년생)가 남아있어 희망퇴직 규모는 당분간 더 늘어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신한은행은 2일 올해 희망퇴직자 541명을 확정했다. 전년(234명)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신한은행에 앞서 농협은행은 지난달 5대 시중은행 중 가장 빠르게 희망퇴직 규모를 확정했다. 총 392명이 회사를 떠나기로 했는데 전년(372명) 대비 20명 증가했다.
지난달 31일 희망퇴직 접수를 마무리한 KB국민은행의 희망퇴직 규모도 작년과 비슷하거나 더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674명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국민은행은 이번에도 650명을 전후한 이들이 희망퇴직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이날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난해 각각 325명과 362명이 희망퇴직했다. 아직 절차가 진행 중인 3곳이 지난해 수준으로 희망퇴직을 단행하더라도 5대 시중은행 전체 희망퇴직 규모는 작년 대비 최소 15%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퇴직금 규모는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은행들은 최대 기본급 35~36개월치를 지급하던 희망퇴직금 규모를 지난해부터 31개월로 낮췄다. 이자 장사로 자신들의 배만 불린다는 비판을 의식해서였다. 희망퇴직금 액수가 줄면서 지난해 희망퇴직자 수는 2023년 대비 21.8% 감소했다.
그럼에도 올해 희망퇴직자가 다시 늘어난 것은 은행들이 희망퇴직 대상 범위를 대폭 늘렸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은 44세 이상이었던 희망퇴직 대상 범위를 38세 이상으로 확대했다. 지난해 1972년 이전 출생자(52세 이상)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았던 국민은행도 1974년 이전 출생자(51세 이상)까지 범위를 넓혔다. 은행들은 인력을 계속 줄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기준 국내은행 점포 수는 총 5690개로 최근 5년 간 폐점한 곳이 무려 1189곳(17.2%)에 달했다.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하면서 실적이 정점을 찍고 내려갈 수 있다는 우려도 희망퇴직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2023년부터 순이자마진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데다 금리인하까지 본격화하면서 향후 실적이 지금만 못할 것이란 인식이 있다”며 “희망퇴직금이 지나치게 높다는 비판적 여론이 이어지면서 희망퇴직이 언제 멈출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최재성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