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경방)’을 통해 밝힌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한국의 잠재성장률(2%)을 밑도는 수치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53년 이후 성장률이 2% 아래로 내려간 건 여섯 차례뿐이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내수 회복이 더딘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고,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전환 등 대외 여건이 녹록지 않다”며 “하반기로 갈수록 더 어려운 상고하저(上高下低)에 가까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8% 성장률은 국제통화기금(IMF·2%), 한국은행(1.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등 다른 기관의 기존 예측보다도 낮다. 비상계엄 사태 전 발표한 다른 기관과 달리, 이번 정부의 전망치에는 정치적 혼란에 따른 경제적 충격이 담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전문가 “추경 시급”… 6개월 시한부 경방 우려도
다만 소비자물가는 지난해(2.3%)보다 낮아진 1.8% 상승하며 둔화 흐름이 예상된다.
김영옥 기자 |
이에 정부가 내건 새해 경제정책의 방점은 ‘리스크(위험) 관리’에 찍혔다. 경기 방어를 위해 정부가 내세운 카드는 예산 조기 집행이다. 85조원 규모의 민생사업 예산을 상반기에 70%(1분기 40%)까지 당겨 집행한다. 감액 예산안의 부작용을 속도로 방어하겠다는 의지다. 조기 집행에도 불구하고 1분기 재점검을 거쳐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추가 경기보강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김 차관은 ‘추경이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다양한 방안을 열어놓고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박경민 기자 |
하지만 사상 초유의 위기에 대응하기엔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다. 내수를 살리겠다며 추가 소비 소득공제,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을 앞세운 건 지난해 경방의 ‘복붙(복사해서 붙이기)’이다. 관광 촉진책도 쿠폰·휴가비 지원 등 세부 실행 방안이 이전과 같다. 저출산·고령화 대응, 규제 개선, 교육·연금·노동 개혁같이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려는 청사진은 빠졌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비상계엄 여파에 더해 트럼프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성장률이 전망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며 “1~2월 안에 3조~5조원 정도의 작은 규모라도 추경을 편성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김기환·이우림 기자 khk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