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017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G20 기간 만난 자리에서 불편한 표정을 짓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가 돌연 외교적 도발에 가까운 언급을 한 배경과 관련해선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트럼프 특유의 전략이라는 분석과, 중국에 대한 견제를 위해 북극 인근에 매장된 자원 선점과 북극 항로 개척을 염두에 둔 의도적 노림수일 수 있다는 해석이 함께 나온다.
━
“캐나다 사람은 美 편입 원해…그린란드는 ‘마가’”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상원의장을 겸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발표로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인증을 받은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캐나다와 그린란드를 미국의 영토로 편입하고 싶다는 글을 잇따라 올렸다.
트럼프는 먼저 지난 6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사임 발표를 한 것과 관련 “캐나다의 많은 사람들은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며 “미국은 캐나다가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막대한 무역 적자와 보조금을 감당할 수 없고, 트뤼도 총리는 이 사실을 알고 사임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캐나다와)함께라면 얼마나 위대한 국가가 될까”라고 했다.
그린란드의 피투픽 우주기지(구 툴레 공군기지) 전경.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는 그린란드도 도발했다. 그는 “그린란드 사람들이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라고 들었다”며 “그린란드는 놀라운 곳이고, 그린란드가 미국의 일부가 되면 사람들은 엄청난 혜택을 볼 것”이라는 글을 추가로 올렸다. 트럼프는 특히 “내 아들 돈 주니어와 여러 대표들이 가장 웅장한 지역(그린란드)과 명소를 방문하기 위해 그곳을 여행할 예정”이라며 7일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의 그린란드 방문이 그린란드 매입 등 영토 편입 언급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
단순 ‘조롱’ 아니었나…트럼프 도발 의도는?
트럼프는 지난해 11월 26일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트뤼도 총리가 그의 자택인 마러라고 리조트를 긴급 방문했지만, 지난달 10일과 25일엔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주지사’로 칭하며 캐나다의 국민 감정을 건드렸다. 당시까지만 해도 트럼프의 외교적 ‘결례’는 캐나다와의 무역 불균형에 대한 허풍에 가까운 협상 전략으로 해석하는 이가 많았다. 고율의 관세를 ‘무기’로 캐나다에 무역과 관련한 압박을 가하기 위한 의도란 해석이다.
지난달 24일 파나마시티의 미국 대사관 밖에서 시위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언급한 파나마운하 운영권 관련 언급에 반발하며 트럼프의 사진이 담긴 현수막을 불태우고 있다.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런데 트럼프는 캐나다에 이어 영토 확장 전략을 파나마와 그린란드로까지 확장했다. 파나마와 관련해서 미국의 성조기가 걸린 파나마 운하 사진을 게시하며 “미국 운하(United States Canal)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란 글을 올렸고, 그린란드에 대해선 “국가 안보와 전 세계 자유를 위해 그린란드 소유권과 지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했다.
미국은 파나마 운하 건설을 주도한 뒤 85년간 운하를 관리하다 1999년 파나마 정부에 운영권을 넘겼다. 그린란드는 북극해에 있는 덴마크의 자치령으로 지정학적 가치가 급속하게 커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곳이다.
━
‘단순 엄포’ 아닐 수도…전략적 가치 높아진 북극
세계 최강 미국이라도 타국의 영토를 뺏는 것은 전쟁을 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들 3개국에 대한 도발은 현실적으로 운하 통행료 인하와 캐나다·덴마크에 대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일 가능성이 있다.
파나마 운하에서 싱가포르 머스크 타우러스 컨테이너선이 확장된 운하를 통과해 콜리 잠금장치를 통과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런데 트럼프가 나토의 다른 국가가 아닌 이들 3개국을 특정한 것에 대해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특히 트럼프가 1기 행정부에 이어 또다시 그린란드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안보와 상업적 차원의 계산이 깔려 있다”며 “북극권의 전략적 요충지인 그린란드를 선점해 중국 및 러시아와의 ‘북극 패권 경쟁’에서 승기를 잡겠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린란드엔 전기차 제조에 필요한 희토류가 다량 매장돼 있다. 그린란드에 대한 주도권을 쥐게 될 경우 미국은 중국에 대한 희토류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동시에 기후변화로 그린란드의 80%를 덮고 있는 얼음이 녹으면서 북극 항로 개척도 가시권에 들어온 상태다.
━
“사악한 외부 세계”…중국 견제 ‘실제 전략’ 가능성
트럼프는 이날 글에서 그린란드와 캐나다를 미국 영토에 편입해야 하는 이유를 짐작하게 하는 내용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그린란드에 대해선 “우리는 그린란드를 ‘사악한 외부 세계’로부터 보호하고 소중히 여길 것”이라고 했고, 캐나다와 관련해선 “미국과 합병하면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 선박의 위협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해질 것”이라고 했다. 결국 영토 관련 발언이 러시아와 중국, 이 가운데 특히 중국을 염두에 뒀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의 부상은 트럼프가 인식하고 있는 실체적 위협이다.
다시 맞서야 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왼쪽)과 중국 시진핑 . 사진은 2019년 6월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때문에 트럼프의 영토 관련 발언이 단순한 농담이 아닌 심각한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캐나다와 그린란드는 중국과 자원 확보와 무역항로를 놓고 경쟁을 벌여야 하는 북극권의 중심이고, 파나마운하는 중국이 서반구로 진출하는 핵심 동맥으로 꼽힌다. 만약 이들 지역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확대될 경우 중국에 대한 강력한 압박 수단이 될 가능성이 있다.
NYT는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는 전통적 고립주의와 달리 군사력을 토대로 타국 영토를 탐내는 팽창주의적이고 식민주의적 성격을 띤다”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의 사고는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개입주의를 구체화했던 우드로 윌슨 전 대통령의 외교 정책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핵심 인사들이 최근 그린란드는 실질적으로 획득하거나 통제할 방안을 비공식적으로 논의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
트럼프, ‘만능키’로 규정한 ‘관세’ 재차 강조
한편 트럼프는 이날 영토 확장과 관련된 글 외에 바이든 정부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불허한 것과 관련 “관세가 (US스틸을) 더 수익성이 있고 가치가 있는 회사로 만들어줄텐데 왜 지금 팔기를 원하느냐”는 글을 함께 올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는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회사였던 US스틸이 다시 위대함을 향해 나아간다면 좋을 것이고, 이는 매우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며 관세를 통해 US스틸의 가치를 단기에 올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트럼프는 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보편관세를 안보의 핵심 분야에만 적용할 것’이라고 한 워싱턴포스트(WP) 보도와 관련해 “관세 정책이 축소될 거란 보도는 잘못됐고, 이는 가짜 뉴스의 또 다른 예”라고 했다.
트럼프는 그간 관세를 경제뿐만 아니라 외교·안보 등 전분에 걸쳐 타국을 압박하는 ‘만능키’로 삼겠다고 공언해 왔다. 이미 미국의 51번째 주 편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캐나다에 대해 25%의 보편관세를 물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향후 트럼프가 구상하는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 등 동맹국에게도 관세를 통한 압박을 가하게 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thka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