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9 (목)

[오늘 아침 신문] 시위판 된 한남동‥밤낮없는 고성·쓰레기에 주민들 몸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집회 인파가 몰리는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일대가 소음과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세계일보입니다.

◀ 앵커 ▶

한남동은 고가 아파트 단지와 골목 사이 맛집들, 각종 유명 의류 브랜드 상점들이 몰려 젊은 층이 많이 찾는 곳이죠.

하지만 요즘 한남동 거리에는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보낸 화환들이 나뒹굴고, 경찰의 접이식 폴리스라인과 버스 차벽이 곳곳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또 시위대가 버린 쓰레기에 노상 방뇨도 비일비재한 데다, 보행자를 붙잡고 정치 성향을 묻는 일도 있다는데요.

건물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이들과 점주들 간 실랑이에 불법 주차 문제까지 심각해서 인근 상점들은 시위대 출입 금지 문구를 붙여놓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평소에도 통행량이 많은 한남대로 일대의 교통 통제로 차량 정체는 더 늘었는데요.

서울시는 교통 방해 행위가 지속될 경우 관련 단체를 수사기관에 고발하는 등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 앵커 ▶

지역 신문 기사도 하나 보겠습니다.

무등일보입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의 장례철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광주 지역 일부 장례식장에서 여객기 사고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에게 고가의 장례용품 구입을 강요하는 등의 정황이 포착된 걸로 알려졌습니다.

광주시가 5개 자치구와 23개 장례식장에 발송한 부당영업 행위 자제와 관리·감독 협조 요청 공문에, "유가족을 대상으로 부당한 요금을 청구하고 고가의 상품을 진행하도록 강요했다는 민원이 발생했다"고 밝힌 건데요.

관련 공식 민원은 접수되지 않았지만, 장례가 치러지는 과정에서 일부 관련 사례가 있었던 걸로 전해졌고요.

광주시는 추후 관련 사례가 확인되면 행정처분을 내리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 앵커 ▶

이어서 매일경제입니다.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법인 파산 신청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는 소식입니다.

빚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 가운데, 회생조차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면 결국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는데요.

지난해 전국 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 신청은 11월까지 1,745건, 하루 평균 4.7개의 기업이 파산 신청을 한 셈이고요.

회생과 파산을 합한 도산 신청 역시 지난해 2,729건으로 사상 최대였습니다.

중소, 영세 업체들은 물품 구매를 외상으로 할 때 주로 어음을 사용하지만, 약속된 날 통장에 돈이 없으면 부도 처리되는데요.

이 어음부도율도 작년 9월부터 상승세를 보여, 11월에는 0.21%를 기록하며 1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정부가 상반기 예산 집행을 늘리기로 했지만, 얼어붙은 민간 소비를 살릴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서울경제 보겠습니다.

해가 바뀔 때마다 프랑스, 이탈리아의 고가 브랜드 본사들은 원자재 가격과 국가별 환율 등을 고려해 가격 조정에 나서는데요.

올해는 유독 이들 고가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얼리 브랜드 반클리프 앤아펠은 최고가 주얼리를 제외한 전 품목 가격을 평균 3~4%, 일부는 최대 10%까지 인상하고요.

샤넬과 에르메스 역시 주요 제품 가격을 각각 평균 15%와 10% 이상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들 브랜드의 잇따른 가격 인상은 최근 환율이 치솟은 데다 금값마저 급등했기 때문으로 풀이되는데요.

국내 시장에선 내수 부진에 탄핵 정국으로 소비 심리가 극도로 위축됐지만 '살 사람들은 산다'는 계산도 작용한 걸로 보입니다.

◀ 앵커 ▶

끝으로, 한겨레입니다.

앞으로 성범죄자와 마약사범 등 강력범죄 전력이 있는 사람은 배달 라이더 업무와 장애인 콜택시 운전이 제한됩니다.

성범죄 등 강력 범죄는 20년, 음주 운전은 5년 등 범죄 경중에 따라 최소 2년에서 최장 20년간 취업이 제한되는데요.

장애인콜택시 운전사를 고용하려는 기관이나 배달의 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소화물 배송 대행 서비스 인증 사업자는 관할 경찰서를 통해 결격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요.

업체들이 범죄 경력을 확인하지 않거나, 제한 사유를 확인하고도 한 달 이내에 계약을 해지 않지 않으면 위반 기간에 따라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