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2025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물갈이'로 인해 매파 정책 기조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가뜩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이에 날카로운 신경전이 벌어지는 상황과 맞물려 월가의 조명이 집중됐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최근 한 달 사이 53bp(1bp=0.01%포인트) 급등, 월가를 긴장시키는 가운데 연준의 매파 정책 기조가 빅테크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를 꺾어 놓을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진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2025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새롭게 투표권을 갖게 된 정책 위원은 수잔 콜린스 보스톤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 루이스 연은 총재,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 시티 연은 총재, 그리고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등 4명이다.
이번에 투표권을 반납하는 정책 위원은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와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베스 해먹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다.
연준의 정책 위원은 총 19명. 이들은 모두 매년 8회 열리는 통화정책 회의에 참석해 거시경제 상황과 적정한 금리 수준 및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 루이스 연은 총재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투표권을 갖는 정책 위원은 12명으로 제한된다. 이들 12명은 다시 연준 의장을 포함한 7명의 고정 투표권자와 5명의 순환 투표권자로 나뉜다.
19명의 정책 위원들 가운데 고정 투표권자 7명과 뉴욕 연은 총재를 제외한 나머지 11명이 4개의 투표권을 놓고 순환하며 금리 결정에 참여하는 구조다.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 시티 연은 총재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순환 시스템을 좀 더 자세히 보면, 클리블랜드와 시카고, 리치먼드, 애틀란타, 보스톤 연은 총재가 3년마다 2년 연속 투표권을 갖고 필라델피아와 댈러스, 미니애폴리스, 캔자스 시티, 세인트 루이스, 샌프란시스코 등 6개 지역 연은 총재가 2년마다 1년간 투표권을 행사하게 된다.
주요 외신들은 2025년 새롭게 투표권을 갖게 되는 정책 위원과 투표권을 상실하는 정책 위원을 저울에 달아보면 매파가 순증하는 결과가 나온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다.
새롭게 투표권을 갖는 정책 위원 4명 가운데 알베르토 무살렘 총재와 제프리 슈미드 총재가 매파로 분류되고, 오스탄 굴스비 총재와 수잔 콜린스 총재는 각각 중도와 비둘기파로 평가 받는다.
기준금리 결정에 참여하는 11명 중 이번에 빠지는 위원들 중에는 베스 해먹 총재가 매파로 분류되는 가운데 메리 데일리 총재가 중도파로 꼽히고, 토마스 바킨 총재와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중도적인 매파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2025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투표권자의 물갈이를 종합적으로 볼 때 매파에 무게추가 쏠렸다는 계산이 나온다.
관세 폭탄부터 감세, 반이민 등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정책 기조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 상황을 감안할 때 연준의 매파 본색이 두드러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2024년 12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파월 의장이 앞으로 금리 인하를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한 가운데 실제로 추가 인하가 느려질 여지가 높아졌다는 판단이다.
슈미드 캔자스 시티 연은 총재는 지난 10월 미국의 기준금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전 장기 저금리 기조 당시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 머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금리 인하 사이클이 종료되는 시점의 최종 금리 수준이 월가의 예상치를 크게 웃돌 가능성을 예고한 발언이다.
그는 이어 12월에도 한 인터뷰에서 기준금리를 얼마나 더 내려야 할 것인지, 어느 수준에서 인하를 멈춰야 할 것인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슈미드 총재는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제약적이라는 진단을 내리고 있다. 기준금리가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경제 성장을 이루는 중립금리 수준을 웃돈다는 얘기다.
다만, 그는 중립금리 수준과 추가 금리 인하 폭에 대해 정책자들의 의견이 엇갈린다고 전했다. 팬데믹 이전 장기적으로 미국의 중립금리는 2.5%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최근 수 년 사이 수치가 이보다 높아졌다는 것이 중론이다.
수잔 콜린스 보스톤 연은 총재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무살렘 세인트 루이스 연은 총재는 1월 초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인내심을 갖고 통화정책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연율 기준 9%를 뚫고 올랐던 인플레이션 지표가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섣부른 금리 인하를 경계한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준이 특히 주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표는 2025년 말 연율 기준 2.5%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연준의 목표치인 2.0%를 웃도는 동시에 9월 점도표에서 제시됐던 전망치 2.2%를 상회하는 수치다.
무살렘 총재는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연준의 목표 수준인 연율 기준 2.0%까지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모든 정책 카드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추가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거나 일정 기간 중단하고, 경제 펀더멘털을 면밀하게 판단해야 할 때"라며 매파 기조에 무게를 둔 발언으로 월가의 시선을 끌었다.
콜린스 보스톤 연은 총재는 지난 11월 중순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지만 최종 금리 수준은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다만, 그는 미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 공격적인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일축했다.
최근까지 통화정책을 통해 연준이 앞으로 신중하고 노련하게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앞으로 발표되는 경제 지표를 면밀히 평가해 균형 잡힌 통화정책을 이행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12명의 금리 결정 팀에 등판하는 인물 중 유일하게 비둘기파로 꼽히는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지난 12월 통화정책 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 수준이 여전히 중립금리 수준을 크게 웃도는 상태라고 판단했다.
그는 "2025년 금리 전망을 소폭 상향 조정했지만 여전히 기준금리가 현 수준에서 떨어질 여지를 열어 두고 있다"고 말했다.
굴스비 총재는 앞으로 12~18개월 사이 미국 인플레이션이 정책자들의 목표치인 연율 기준 2.0%에 이르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한편 이번에 투표권을 상실하는 정책자들 가운데 해먹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가 대표적인 매파로 분류됐다. 그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 금리 인하에 반기를 들었던 인물이다.
shhwang@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