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의 자사고 관리 감독 권한 약화시키는 조치”
서울시교육청.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교육부가 시·도교육감이 자율형사립고(자사고)를 수시 취소할 수 있는 규정을 법에서 삭제하기로 하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교육청의 자사고 관리 감독 권한을 약화하는 조치’라며 반박에 나섰다.
서울시교육청은 13일 오전 낸 입장문을 통해 “교육부가 입법 예고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에서 교육감의 자사고 수시 지정 취소 관련 조항을 삭제한 데 대해 서울시교육청은 의견을 달리한다”면서 교육청의 관리 감독 권한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법령을 개정해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7일 교육부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여기서 교육부는 시행령 제91조의 3에서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회계를 집행한 경우 ▷부정한 방법으로 학생을 선발한 경우 ▷교육과정을 부당하게 운영하는 등 지정 목적을 위반한 중대한 사유 등으로 교육감이 자사고를 수시 취소할 수 있는 규정 3개를 삭제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법적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020년 명예 이사장 횡령 등을 이유로 서울 휘문고에 대해 자사고 지정을 취소했다가 2심에서 패소했다. 교육청은 대법원 상고는 포기했다. “학교 운영의 안정성과 학생의 학교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자사고의 자율성이 존중되면서도 공공성, 사회적 책무성을 강조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