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호흡기·심혈관·뇌 등 영향
천식·COPD 입원 증가…야외활동 주의
21일 서울 도심에 미세먼지가 가득 차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2일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대기질 정보 사이트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이날 수도권과 강원영서, 세종, 충북, 충남, 광주, 전북에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시행일시는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다.
이에 따라 행정·공공기관 소유·출입차량 2부제가 시행(민원인은 자율 참여)된다. 친환경차와 장애인·임산부·유아가 탑승한 차를 제외하고는 이날은 짝수 차량만 행정·공공기관에 출입할 수 있다.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는 중금속은 철, 카드뮴 등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호흡기를 통해 폐로 침투하며 심혈관질환과 같은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2.5㎛ 이하로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 정도로 매우 작아 바로 몸 속으로 흡수되며 몸 속 어디든 침투해 몸에 쌓인다. 폐 깊숙이 침투해 호흡기, 심혈관 등 각종 장기와 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 어린이, 임산부는 미세먼지에 특히 취약하다. 노인들은 면역력이 약해 미세먼지로 인한 심혈관·호흡기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어린이들은 호흡기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미세먼지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임산부는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 및 격렬한 운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운동을 하면 호흡량이 증가해 초미세먼지가 폐 깊숙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외 운동을 가급적 삼가고 실내에서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해 공기의 질을 관리하고, 환기는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대를 선택해 짧고 자주 하는 것이 좋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