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7 (월)

[인터뷰] 에드워드 리 "내 인생 한국과 이어준 건 '음식'…요리란 매우 아름다운 여정"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방송 : JTBC 뉴스룸 / 진행 : 안나경

■ 저작권은 JTBC 뉴스에 있습니다. 인용보도 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한국 음식은 나의 정체성이다.' 독창적인 한식 요리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에드워드 리, 이균 셰프님을 <뉴스룸>에 모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에드워드 리/셰프 : 네 감사합니다.]

[앵커]

한국어로 짧게 인사 부탁드릴게요.

[에드워드 리/셰프 : 안녕하세요, 저는 에드워드 리 요리사입니다.]

[앵커]

요즘에 한국과 미국을 오가면서 진짜 바쁘게 지내시고 계신 것 같아요.

[에드워드 리/셰프 : 요즘에 한 달에 한번 한국에 와요. 매우 매우 바쁩니다.]

[앵커]

<냉장고를 부탁해> 저희 JTBC 예능에 출연하셨는데, 그건 좀 어떠셨나요?

[에드워드 리/셰프 : 재미있습니다. 재미있어요. 15분이라서 매우 어렵기도 합니다. 재미있는 프로그램이고 저도 재미있게 하려고 노력 하는데요.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그대로 하곤 합니다.]

[앵커]

팩 붙이신 것은 즉석에서 생각하신 아이디어였을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한국 사람들이 마스크 팩을 냉장고에 넣어 놓는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그걸 보고 정말 충격을 받았는데요. 재미있을 것 같아서 얼굴에 붙여봤습니다.]

[앵커]

셰프님께서 '한식은 내 정체성이다'라고 말씀 하셨는데, 그 의미를 직접 좀 한 번 풀어주실 수 있으실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제가 미국에서 태어났어요. 한국에 자주 오지도 않았고 한국어도 잘 몰랐었습니다. 제가 한국인임을 느낄 수 있었던 건 한국 음식을 먹고, 요리하고, 한식에 대해 배우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제 인생을 한국 문화와 연결해준 건 음식이었습니다.]

[앵커]

할머니 요리에 대한 추억이 많다고 종종 말씀하셨는데 셰프님 마음에 위안을 주는 소울푸드 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그런 음식이 따로 있을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많은 음식들이 있지만, 저에게는 찌개일 것 같습니다. 우리 할머니가 김치찌개 잘 만들었어요. 그래서 언제나 생각나는 건 김치찌개로, 저에게 가장 위안이 되는 음식입니다.]

[앵커]

설이 이제 얼마 안 남았어요.

[에드워드 리/셰프 : 네, 미국에서 특별히 설날 떡국 하고 잡채 먹어요. 우리 어머니가 잡채 만들고 저는 떡국 만들어요.]

[앵커]

셰프님의 떡국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에드워드 리/셰프 : 없어요, 그거는 우리 딸, (나미) 우리 딸한테 만들 때 그냥 떡국. 저를 위해 떡국을 만든다면 화려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딸을 위해 만들 때는 전통적인 떡국의 맛을 이해하게 해주고 싶습니다.]

[앵커]

요리하실 때 혹시 꼭 지키시는 규칙이나 루틴 같은 것이 있을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저는 주방에서 음악을 듣지 않습니다. 대신 다지고, 썰고, 볶는 소리를 듣는 것을 더 좋아하는데요. 그런 소리들이 제겐 음악 같아서 주방에서 팝 음악 등을 틀어놓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앵커]

요리하실 때 말고는 음악 듣는 것을 즐겨 하시나요?

[에드워드 리/셰프 : 네, 일부 즐겨 듣습니다. 제 음악 취향은 매우 올드한데 김현식같이 오래된 음악, 아저씨 음악을 좋아합니다.]

[앵커]

왠지 잘 부르실 것 같다는 생각이?

[에드워드 리/셰프 : 저요? 아니요. 안 해요. 노래방 안 해요.]

[앵커]

셰프님은 요리 만큼이나 글쓰기도 좋아하시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이번에 국내에도 책이 나왔는데 밥에 대해서 쓴 부분이 인상적이던데 '밥은 기적과 같다, 따뜻한 전분 덩어리가 선사하는 편안한 감각이다.' 라고 하셨거든요?

[에드워드 리/셰프 : 가끔 머릿속으로 음식에 대한 호기심과 요리사가 되고 싶다는 마음이 그 쌀밥 한 입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쌀밥은 항상 저에게 따뜻한 기운을 주는데요. 오늘도, 그리고 어제도 저녁으로 저는 쌀밥을 먹었고 '아 너무 맛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앵커]

최근에 워싱턴 D.C에 한식 파인다이닝을 여신 걸로도 알고 있는데 친환경과 비영리를 지향하는 식당이라고 하는데 그럼 어떻게 좀 운영을 하시는 걸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저희 식당에서는 플라스틱을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모두 전기를 사용하며 쓰레기와 폐기물을 줄이는 방법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1년에 한 번씩 저희가 해온 활동들을 자료로 발표하는데요. 저희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더 많은 식당들이 플라스틱을 덜 쓰고 쓰레기도 줄이는 등 더 친환경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랍니다.]

[앵커]

그 셰프님의 30년 동안의 요리 인생을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저는 모험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저는 항상 제 자신에 도전하고 싶은데요. 때로는 책이 될 수도, TV 프로그램이 될 수도, 식당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에게 요리는 매우 아름다운 여정이고, 가능한 이 여정을 오래 이어나가고 싶습니다.]

[앵커]

네. 마지막으로 시청자분들에게 설 인사 한마디 좀 해주실 수 있을까요?

[에드워드 리/셰프 : 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건강하게 재미있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앵커]

셰프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 인터뷰 고맙습니다.

안나경 앵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