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제철이 '3세대 강판'을 앞세워 불황 돌파에 나선다. 어려운 업황을 돌파하기 위한 최선의 카드는 고부가가치 차세대 제품이란 판단이다.
2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올해부터 3세대 강판의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약 10 년간의 연구개발을 거친 3세대 강판은 고강도와 고성형성을 동시에 갖춘 첨단 제품으로 차세대 자동차강으로 주목받는다.
자동차 강판은 충돌 안정성을 위해 높은 강성을 갖춰야 한다. 하지만 차체 곡면 제작을 위헤선 고성형성도 필요하다. 두 특성은 반비례 관계에 있어 둘 모두를 높은 수준에서 갖춘 제품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
현대제철이 개발한 3세대 강판은 이 한계를 뛰어넘었다는게 업계 평이다. 3세대 강판은 1.2GPa(기가파스칼)급 고강도 제품이다. 하지만 1.0GPa급 제품 대비 무게는 10% 이상 가볍다. 이러한 특징으로 전기차와 같이 디자인, 충돌 안전성, 경량화가 동시에 요구되는 차세대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강판으로 통한다.
3세대 강판의 올해 성공적 데뷔는 현대제철로선 철강 불황 돌파를 위한 핵심이다. 현대제철의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31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6% 감소했다. 글로벌 건설경기 침체, 중국산 저가제품 공급과잉 등의 여파다. 분위기는 올해도 비슷할 전망이다. 정익수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단기간 철강업황 회복 여력은 미약하다"며 "구조적 회복을 위해서는 중국, 국내 철강업 구조조정에 기반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불황에 대한 수세적 대응이란게 업계 시각이다. 고부가 가치 제품으로 시장을 뚫어야 위기 극복이 본질적으로 가능하다는게 업계 중론이다.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앞서 신년사를 통해 "고부가 제품의 안정적 생산체제 구축, 구매·생산·판매 전 영역을 아우르는 효율성 개선을 통해 수익 중심 사업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초고강도 핫스탬핑강, 3세대 초고장력강 등 고성능·경량화 모빌리티 소재뿐 아니라 풍력용 극후물 강재, 소형모듈원전용 소재와 같은 에너지 소재의 개발과 생산·판매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안정준 기자 7u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