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는 딥시크가 챗GPT를 이용해 자신들의 모델을 학습했다며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사진은 오픈 AI 로고를 배경으로 스마트폰에서 딥시크 앱이 구동되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한 중국의 인공지능(AI) 딥시크는 낮은 학습 비용에도 불구하고 챗GPT 같은 최고 성능의 AI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낮은 비용은 딥시크가 발표한 기술 논문에 따른 것으로 이를 의심의 눈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중국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우려와 중국 정부의 방침에 맞춘 검열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딥시크는 여러 벤치마크에서 주요 첨단 AI와 비등한 성능을 보여준다. 영어 성능을 평가하는 MMLU에서 딥시크 V3는 88.5점, 같은 오픈소스인 메타 라마는 88.6점, 오픈AI GPT-4o는 87.2점을 받았다. 코딩 점수에서도 82.6점으로 라마(77.2점)나 GPT-4o(80.5)보다도 높다.
딥시크와 챗GPT에 각각 상대 모델 대비 강점이 무엇인지 한국어로 질문해보니 딥시크는 챗GPT에 비해 최신 정보 반영, 맥락 이해, 다국어 지원, 윤리적 안전성 등에서 강점이 있으며 챗GPT의 한계를 보완해 더 발전된 AI 기술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효율성'과 '자원 최적화'라는 답은 영어로 질문했을 경우에만 제시했다. 반면 챗GPT는 상대적인 강점으로 '검열 제한 없음' '고급기능제공' '데이터 프라이버시'라는 일관된 답을 내놨다.
그러나 이같은 비용은 지나치게 축소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메타의 경우 한번 구매하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GPU 구매비용으로 계산한 것이고, 딥시크는 이를 클라우드 사업자를 통해서 빌려서 사용하는 1회성 비용으로 계산했다. 단순 GPU 사용비용이 아니라 사전 학습 비용, 데이터 확보 비용 등을 감안하면 실제 V3를 만드는 비용은 훨씬 높을 수 밖에 없다는 평가다. 딥시크가 보유한 AI 반도체 GPU를 숨기고 있다는 설명도 나온다. AI학습 데이터와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일AI의 알렉산더 왕 CEO는 딥시크가 최신 H100 GPU를 5만대 이상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GPU는 미국 반도체 규제 대상이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밝힐 수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중국 관영 언론 차이나데일리는 딥시크가 미국 애플 앱스토어 내 무료 다운로드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중국의 딥시크가 최근 공개한 '딥시크-R1'은 오픈AI에 필적할 만한 성능을 나타냈다"며 "미국 AI 산업에 커다란 충격을 줬다"고 평가했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딥시크의 부상에 대해 글로벌 AI 경쟁의 전환점이라고 언급한 점도 소개했다.
해외에서는 딥시크의 실시간 검열 의혹을 잇따라 제기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나 중국 공산당에 관한 민감한 질문에 '답변 불가'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 딥시크에 시 주석에 대해 영어와 중국어로 묻자 "죄송하다. 답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났다. 다른 얘기를 하자"는 답변이 나왔다. '톈안먼 사태'에 관한 질문에도 "답변할 수 없다"고 했다. 반면 한국어로 시 주석에 대해 물어보자 "중국 공산당의 훌륭한 지도자로서 중국의 발전과 민족의 부흥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톈안먼 사태에 관한 질문에는 "중국은 평화로운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즉답을 회피했다.
'대만 독립'에 관한 질문에는 영어·중국어·한국어를 가리지 않고 "대만은 예전부터 중국의 일부였다"며 "중국 정부는 대만 독립에 반대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국가 분열에 대한 시도는 국민의 뜻에 반하며 실패할 운명에 처해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는 딥시크를 앱이나 웹에서 사용하는 경우로 이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로 미국 내에서 사용할 경우 문제가 없다는 설명도 나온다. 아라빈드 스리비나스 퍼플렉시티 CEO는 딥시크를 퍼플렉시티 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발표하면서 "딥시크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이를 미국내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면 중국으로 개인정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