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설 연휴가 끝나면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도 속도가 날 걸로 보입니다. 특히 윤 대통령에게 불리한 증언을 쏟아냈던 인사들의 증인 신문이 줄줄이 이어집니다. 그래서인지 윤 대통령 측의 '헌법재판소 흔들기' 역시 거세지고 있습니다.
돌고 돌아 또다시 '재판관 기피 신청' 카드마저 다시 만지작거리고 있는데 먼저 김지윤 기자입니다.
[기자]
윤 대통령 측이 이미선 헌법재판관에 대해 기피신청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헌법재판관에 대한 윤 대통령의 기피신청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첫 변론기일 전날부터 정계선 재판관에 대해 기피신청서를 냈습니다.
법원 내 진보적 성향을 가진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웠습니다.
탄핵심판에서 김 전 장관이 국회 측 증인신문을 거부하겠다고 했는데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 (지난 23일) : 반론 질문에 임하게 되면 사실이 왜곡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증인신문을 거부하고 싶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지난 23일) : 그럴 경우에 일반적으로 판사들은 그 증인의 신빙성에 대해서 낮게 평가합니다. 그건 알아서 하십시오. 제가 증인을 강요할 권한은 없죠.]
이런 가운데 마은혁 후보자에게도 편향성 공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헌법재판관 8명 중 3명에 대해 기피신청과 형사고발을 하고 후보자에 대해서도 편향성 문제를 제기한 건데 헌재의 정통성을 흔들려는 시도로 풀이됩니다.
재판관들의 이력을 문제 삼아 공격하면서 종국엔 탄핵심판 판단에도 불복하려는 게 아니냔 우려가 나옵니다.
김지윤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