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6 (수)

“이 정도면 N수생 공습”…서울대 정시합격 5명 중 1명이 삼수 이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대 정시 합격자 1570명 분석
의대 증원 여파·쉬운 수능 등 영향
합격자 2명 중 한 명은 서울 출신
특목고·자사고는 10년전보다 급감


매일경제

2025학년도 서울대학교 정시 합격자 5명 중 1명이 삼수 이상 수험생으로 최근 10년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로 수능 고득점 반수생과 상위권 의대생들의 재도전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사진은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모습. [사진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서울대 정시모집 합격자 5명 중 1명은 삼수 이상의 수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정원 증원으로 상위권 수험생들이 의대 지원에 쏠리면면서 상대적으로 비의학계열 서울대 입학 가능성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대 진학 기회를 노린 ‘장수생’들의 지원이 많았다는 얘기다.

7일 종로학원이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생 1570명을 분석한 결과, 삼수 이상 합격생이 330명으로 전체의 21%를 차지했다. 삼수 이상 합격생 비율은 최근 10년 중 가장 높다.

2016학년도에 9%에 불과했던 삼수 이상 합격자는 2018학년도 11%, 2019학년도 15%, 2021학년도 16%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문·이과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된 2022학년도에는 20% 문턱을 넘어선 데 이어 올해 21.0%까지 올랐다.

정시 합격자 중 재수생을 포함한 ‘N수생(졸업자 수험생)’으로 범위를 넓히면 비중이 57.4%에 달한다. 다만 이 비율은 지난해(59.7%)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다. 쉬워진 수능으로 재수생의 서울대 합격 비율이 낮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서울대 정시모집자 중 재수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36%로 지난해 40% 대비 4%포인트나 줄어든 반면 재학생 비중은 지난해 38%에서 40%로 늘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삼수생 이상 합격자 수가 늘어난 것은 의대 증원을 노린 상위권 N수생이 상당수 몰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거주 합격자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서울 거주 학생 합격자는 718명(46.8%)으로 지난해(44.7%)보다 증가했다. 다만 서울 외 광역시 거주 합격자는 181명(11.8%)으로 지난해(14.5%)보다 2.7%포인트 줄었다.

학교별로는 일반고 출신이 999명(63.6%)으로 지난해(63.8%)와 비슷했다. 특목·자사고 또한 올해 합격생이 432명(27.5%)으로 지난해(27.6%)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특목·자사고 합격생 비율은 최근 10년 새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2016년 48.2%에 달했던 특목·자사고 합격생 비중은 이후 서서히 줄어 2018년 38.6%, 2021년 35.5% 등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