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언급한 미·일공동성명 직후 항행
중국 “안보 위협” “주권 침해” 반발
대만 “중국 군사활동이 오히려 문제”
중국 인민해방군의 대만 포위 훈련 다음날인 2024년 10월 15일 대만 마쭈섬 인근 해역에서 여객선이 지나가고 있다./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미 해군 함정이 대만해협을 통과했다. 중국군은 “안보 위협을 증가시키는 행위”라며 반발했다.
리시 중국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대변인은 12일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위챗 계정에서 “10일부터 12일까지 미 해군 구축함 존슨호와 해양측량선 바우디치호가 대만해협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리 대변인은 “미국의 이러한 행위는 잘못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안보 리스크(위협)를 증가시킨다”며 “동부전구 군은 항상 고도의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국가의 주권, 안전과 지역 평화 안정을 해치는 데 단호하게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대만 담당 기구인 대만사무판공실의 주펑롄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모든 외부 간섭에 반대한다”면서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준수하고 ‘대만 독립 세력’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에 정례 브리핑에서 “대만 문제는 항해의 자유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의 문제”라며 “중국은 항해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중국의 주권과 안보에 대한 모든 국가의 도발과 위협에 확고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라이칭더 총통 취임 이후 대만 주변 공역에 진입한 중국군 항공기 수는 하루 평균 10.6대로 전임 차이잉원 총통 시절 5대보다 2배 늘었다. 함정 역시 5척에서 8.1척으로 늘었다. 라이 총통 취임 이후 중국의 대만 인근에서의 군사 활동이 2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중국중앙TV(CCTV)는 이날 춘절 연휴기간 중국군의 대만 인근 해역 훈련 모습도 내보냈다.
미 군함의 대만해협 통과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정상회담인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만해협의 평화 유지 필요성을 거론한 성명이 나온 뒤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인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회담 후 발표한 성명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와 관련해 미·일 양국에 항의했다고 밝혔으며, 특히 요코치 아키라 주중 일본대사관 수석공사를 불러 불만을 전달했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