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이 묘역에 헌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친한계(친 한동훈계) 의원들의 요청으로 단체 대화방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이 24일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찾아“역사적 아픔의 현장이자 민주주의의 상징인 광주 금남로에서 탄핵 반대·계엄 찬성 집회가 열려 송구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12·3 비상계엄 당일부터 광주항쟁과 같이 시민들이 피를 흘리는 일은 절대 없게 하고 5·18 영령들께 송구하다는 인사를 꼭 드려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던 차에 지난 15일 광주에서의 계엄 찬성 집회를 보고 선을 넘는 일이라고 판단해 더 서둘렀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광주는 불법 비상계엄과 독재에 맞서 시민들께서 피 흘리며 항쟁하고 학살이 은폐됐던 곳인데 그런 곳에서 계엄군이 십자군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는 것은 잔인한 일”이라고 강조하며 “민주주의 본질에 대한 모욕이자 훼손”이라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우리 보수 정당에서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훼손하는 언행이 나오는 것이 진정한 해당 행위”라며 “우리 보수의 가치가 절대 민주주의를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고 소중히 여기는 것임을 꼭 말씀드리며 제힘을 다해 지키겠다고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조합원 20여명과 묘역을 찾아 국화 1500송이를 묘비에 헌화했다.
한편, 김 의원은 전날 친한(친한동훈)계 단체 텔레그램 대화방인 ‘시작2’에서 다른 친한계 의원들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친한계 한 의원은 통화에서 “김 의원이 개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개인 행보가 한 전 대표와 연결돼 해석되는 것은 한 전 대표에게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