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와 황사 등 탁한 공기가 호흡기 질환뿐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봄에도 어김없이 황사와 미세먼지가 찾아온 가운데, 탁한 공기가 호흡기 질환뿐 아니라 '우울증'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일 뉴스1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고농도 미세먼지 기준인 50㎍/㎥를 초과하는 날 중 80%는 12~3월로 나타났다. 특히 3월은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나쁜 달이었다.
미세먼지는 크기에 따라 일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일반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이하, 초미세먼지는 지름 2.5㎛ 이하를 말한다. 1㎛는 0.001㎝로,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이 50~70㎛인 것과 비교하면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다.
연구 결과,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뇌는 시상하부에 산화 스트레스와 소포체 스트레스를 일으켰다. 또 행복감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도파민 신경회로 기능을 떨어뜨려 우울증 유발 가능성을 높였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KF80, KF94 등 보건용 마스크를 쓰면 도움이 된다. 입자 차단율을 나타내는 KF 등급의 숫자가 높을수록 유해물질 차단율이 높다는 뜻이다.
귀가했을 땐 곧바로 샤워 등으로 몸을 씻어주는 게 좋다. 미세먼지에 직접 노출되는 눈과 코, 입 등은 더욱 신경 써 세정해야 한다. 비타민이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도 미세먼지 예방에 도움이 된다.
채태병 기자 ctb@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