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간 협력 부족으로 퇴색되는 5·18 민주화운동의 가치
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대동단결의 중요성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12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김한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출범했지만, 행사를 둘러싸고 5월 단체와 시민단체 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5·18의 대동정신을 되새기며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하나 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 보인다.
5·18 공법 3단체는 지난 12일 45주년 5·18민중항쟁행사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하지 않았고 행사위원장단에서도 이름이 빠졌다.
5·18 행사위원회는 60여 개의 시민단체가 소속돼 있는데 5월 단체는 3개에 불과해 그동안 5·18 행사 추진을 놓고 의견이 반영되기 어려워 소외감을 느겼다는 게 그 이유다.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양재혁 회장은 "이제 5·18이 광주를 넘어서 전국적 가치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보다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방식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자체적으로 행사를 진행해 앞으로 쭉 이어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5·18 행사위원회는 5월 단체가 들어올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김순 집행위원장은 "함께 행사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계속해서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오월어머니집 정현애 전 이사장은 "5·18 행사위원회는 일상에서도 5·18 정신을 실천하며 활동하고, 여러 행사에서도 끝까지 함께하며 그 에너지가 넘칠 수 있는 일종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5·18 정신의 기본은 전 시민이 대동단결하여 함께했던 것이기 때문에 기념 행사는 모두가 함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흩어졌던 마음들이 하나로 모이는 것이 바로 5·18 주간의 행사다"라며 "큰 깃발 아래에서 모두가 함께 행사를 펼쳐 나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광주시는 5·18 45주년을 앞두고 관심이 집중되는 만큼, 5월 단체와 시민단체의 협력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한편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주제로 오는 5월 17일 추모제를 비롯해 전야행사, 기념식, 광주인권상 시상식, 민주기사의 날, 5·18청소년문화제 등 광주시 일원에서 펼쳐진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