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강 좁아져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증상 악화
수면장애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로 확인 해 봐야
◇ 미세먼지, 수면장애 환자에게 더 위험한 이유
코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주고, 건조하고 찬 공기를 적절한 온도와 습도로 조절해 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감기나 수면장애로 인해 구강호흡을 하게 되면 미세먼지를 직접 폐로 들이마시게 되어 상·하부 기도를 자극하고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폐렴, 기관지염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미세먼지로 인해 알레르기성 질환이 발병하면 혈관이 확장되거나 부종이 생겨 비강이 좁아지므로 숨쉬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기존의 수면장애가 악화될 수 있다”며 “천식, 폐질환 등 만성 호흡기 질환자는 미세먼지가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2차 감염(폐렴 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미세먼지 피해 최소화 방법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것도 피해야 하며,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득이하게 외출해야 할 경우 반드시 황사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손과 발을 깨끗이 씻고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 미세먼지, 얼마나 위험한가?
미세먼지는 입자 크기에 따라 구분되는데, 지름이 10㎛ 이하인 입자를 미세먼지(PM10), 지름이 2.5㎛ 이하인 입자를 초미세먼지(PM2.5)라고 한다. 초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20~30분의 1 수준으로 작아 코털 등의 자연 필터를 통과해 폐포까지 도달할 수 있다.
한 원장은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속속 밝혀지는 만큼, 수면장애 환자뿐만 아니라 전 국민이 미세먼지 대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실내 습도 조절, 마스크 착용, 올바른 호흡법 등을 실천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