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석방 등 미묘한 흐름…선고 늦어지는 헌재·초조한 민주당
'한덕수 살리고 尹 탄핵 인용'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분석도
법원의 구속취소 청구 인용으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서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2025.3.8/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한상희 김정률 기자 = 윤석열 대통령보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먼저 헌법재판소의 판단(3월 24일 선고)을 받게 된 가운데 여권 내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치적 이유로 추진된 탄핵인 만큼 한 총리의 복귀가 유력한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의 결과 또한 가늠할 신호라는 것이다.
21일 현재 대통령실은 헌재의 결정을 앞두고 공식 입장을 자제한 채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전날(20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우리는 모든 상황을 관망하는 입장"이라며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尹대통령 석방 등 미묘한 흐름…기각·각하 기대감
당초 여권은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으나 최근 윤 대통령이 석방되는 등 미묘한 흐름이 감지되면서 최종적으로 기각·각하가 내려질 것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 사례처럼 윤 대통령의 행위가 위법하더라도 국헌 문란에까지 이르지 않았다고 판단해 기각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여권 관계자는 "친야 성향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탄핵 인용을 위해 설득을 시도했지만 결국 성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그럼에도 헌재가 더 이상 결정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 이른 시일 내에 결론을 낼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2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제5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2.25/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덕수 살리고 尹 탄핵 인용' 사전 정지 작업 분석도
정치권 안팎에서는 24일 한 총리 탄핵 심판 결론이 나오고,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의 2심 선고를 거쳐, 이르면 28일이나 늦어도 4월 초에는 윤 대통령에 대한 선고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고려했을 때 윤 대통령에 대한 신속한 선고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문 권한대행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는 지적이다.
헌법재판관 성향(진보 3·중도 3·보수 2)에 기반해 '5 대 3', '4 대 4' 등 다양한 추측도 쏟아지고 있다. 탄핵에 찬성하는 여권 인사들도 1~2표의 기각 또는 각하 의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한 총리 탄핵심판을 먼저 선고하는 것이 이른바 '대대행 체제'를 종식시켜 국정 공백을 해소하려는 게 아니냐는 시각과 함께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이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한 총리 탄핵을 기각해 보수 재판관들의 반발을 완화한 뒤 윤 대통령 탄핵을 만장일치로 인용하려 한다는 것이다.
여권은 '100% 파면'이라던 민주당이 이처럼 강수를 두는 배경에 대해 헌재에서 유리한 신호를 받지 못해 초조해진 결과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문 권한대행이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있어 신속한 재판을 하겠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변론 종결 후 20여 일이 지나도록 선고를 하지 못하는 것은 탄핵 인용이 쉽지 않다는 방증이라는 주장이다.
angela020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