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잘사니즘'
이재명과 전문가 9인의 결론…한국경제의 해법은 '포용적 혁신성장'
잘사니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10일 제시한 포용적 혁신성장론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잘사니즘'을 펴냈다.
이재명 대표는 단순한 생존과 효율성을 뛰어넘어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핵심전략으로 'ABCDEFG' 혹은 '에이투지'(A2G)를 제시했다. A2G는 인공지능(AI), 바이오(Bio), 컬처(Culture), 디펜스(Defense), 에너지(Energy), 팩토리(Factory), 글로벌(Global)의 앞 글자를 모은 약자다.
그는 AI·바이오·방위산업 등의 첨단기술을 육성하고, '한국형 마더팩토리'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며, 글로벌 통상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언론인 서정희가 포용적 혁신을 설명했다. 그는 적절한 포용은 혁신에 도움되지만 과도한 포용은 혁신을 저해한다며 혁신의 극대화를 추구했다.
기재부 출신인 구윤철은 단기 재정의 적자와 국가 채무 규모에 집착하지 말고 재정 지출의 성과 증대로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진영은 기금형 등 퇴직연금을 살려내야 국민의 노후생활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 부사장을 역임한 박홍재는 정부-기업의 관계를 지배하는 조직문화를 바꿔야 대기업이 추격에서 선도로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책은 이념과 진영 논리를 넘어 한국경제의 난맥을 풀어낼 실용적인 경제전략을 담았다.
△ 잘사니즘/ 이재명 외 9명 함께 씀/ 다반/ 2만2000원
art@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