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우암감만·씨베이선 통합…41개 정거장
총사업비 7240억…시 "예타신청 뒤 신속 추진"
부산항선 수소트램 조감도(부산시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시가 원도심(영도·중·동·남) 지역을 15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부산항선' 건설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21일 오후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도시철도 부산항선'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부산항선'은 경제적 타당성 부족으로 추진이 어려웠던 '영도선'과 '우암감만선', 북항재개발 구간에 포함된 '씨베이(C-Bay)선' 총 3개 노선을 연계 통합하고 건설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사업성을 확보했다.
이 노선은 영도구 태종대를 시작으로 한국해양대, 중앙역(1호선), 북항재개발지구, 범일역(1호선), 문현역(2호선), 우암동과 감만동, 용호동 입구를 거쳐 경성대·부경대역(2호선)까지 연결된다.
영도, 북항 등 해안선을 따라 운행되는 만큼 차량 시스템은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방식의 무가선 노면전차(트램)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부산항선을 통해 부산항, 북항재개발지구, 국제여객터미널, 부산역 등을 연결해 관광객에게 편리한 대중교통수단을 제공하고 범일역(1호선) 문현역(2호선)과 연결해 원도심간 이동 시간을 단축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부산항선 노선도(부산시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거, 업무, 쇼핑, 의료, 교육, 문화시설 등을 근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15분 생활권을 조성하고 분절된 원도심 지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교통축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부산역, 북항재개발 등과 연계한 대중교통중심개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정거장 중심의 고밀도 복합개발과 보행자 우선 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시는 제2차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반영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해 최우선 사업으로 신속하게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항선은 단순한 교통 기반 시설 확충을 넘어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을 견인하는 핵심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시민 모두가 어디서나 편리하게 누릴 수 있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