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美 보잉·GE서 총 48조원 항공기·엔진 선제 도입
현대차그룹, 26일 조지아주서 HMGMA 준공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일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관세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내 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기업과 대규모 거래에 나서거나 현지 투자 내역을 강조하며 한국의 대미(對美) 경제 기여도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런 움직임이 향후 미국의 관세 정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대한항공, 보잉 등과 48조 계약…美상무·韓산업 장관 동반 참석
23일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행정부 각료들의 '상호주의 관세' 부과 엄포가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국가나 기업의 미국 경제 기여에 따른 예외 가능성도 계속 언급되고 있다.그러면서도 미국 자동차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여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자동차 분야 관세를 유예한 사실도 언급하며 "유연성은 중요한 단어"라며 상반된 언급을 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을 대상으로 8번째 높은 무역흑자를 보이고 있는 한국이 국가별 상호관세 영향권에서 벗어나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국내 기업들은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거나 투자했던 내용을 적극적으로 어필하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투하는 모양새다.
대한항공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보잉 및 GE에어로스페이스와 체결한 '3사 협력 강화 업무협약'이 대표적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협약에 따라 보잉과 GE에어로스페이스로부터 총 327억달러(48조원) 규모의 항공기 및 엔진을 구매하기로 했다.
트럼프 2기 정부 들어 한미 양국 장관이 기념식에 함께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 HMGMA 준공식에 쏠린 관심…美행정부 주목
현대차그룹이 오는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에서 여는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도 한국 기업의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알릴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앞서 백악관은 관세 등 통상정책에 따른 현지 투자의 대표적 예로 현대차그룹을 4차례나 거론했었다.
11일에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부과된 관세를 옹호하며 현대제철의 제철소 설립 검토 보도를 다시 한번 언급했다.
이달 10일에도 미국 사업 확대를 모색하는 글로벌 기업 12곳을 거론하며 "현대차는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고, 조지아주 공장에서 하이브리드차를 생산할 것"이라고 전했다.
백악관은 지난 20일에도 '트럼프 제조업 르네상스'의 사례로 "현대차도 미국 내에서 생산 현지화를 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내에서는 정의선 회장, 장재훈 부회장, 호세 무뇨스 사장 등 현대차그룹 경영진들이 총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