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8개 초·중·고교서 386권 소장
역사왜곡 도서 열람 제한 규정 캠페인
오월 단체가 전국 17개 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초·중·고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5·18 왜곡 도서 폐기 촉구 캠페인을 진행한다. 5·18기념재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월 단체가 전국 17개 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초·중·고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5·18 왜곡 도서 폐기 촉구 캠페인을 진행한다.
25일 5·18 공법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단체는 지난 24일 전국 17개 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초·중·고교 도서관에 5·18 왜곡 도서의 비치·열람 중단을 촉구했다. 재단은 오는 31일까지 회신을 받고 각 학교에도 공문을 통해 대응 활동을 촉구하고, 관련 캠페인도 진행한다.
앞서 교육시민단체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지난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48개 초·중·고교 도서관에 5·18을 왜곡하거나 부정하는 주장의 책 386권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은 재단이 5·18 왜곡 도서로 분류한 23종을 대상으로 학교 독서교육 플랫폼 ‘독서로’를 이용해 조사했다.
2018년 법원으로부터 출판·발행·인쇄·복제·판매·배포 및 광고 금지 판결을 받은 '전두환 회고록 1권: 혼돈의 시대'는 전국 8개 학교에서 열람하고 있었다. 5·18 왜곡에 앞장서고 있는 지만원의 도서 163권(7종), 김대령의 도서 213권(2종)도 열람하고 있었다.
5·18기념재단은 시민의 제보와 모니터링으로 5·18 왜곡도서 리스트를 추가 점검하고 전국 도서관의 '역사 왜곡 도서 구입·열람 제한 규정' 점검 독려 활동 캠페인을 진행한다. 5·18 역사 왜곡 도서의 배포금지 등을 위한 법률대응도 계속한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