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플랫폼 정책포럼' 출범…국내 플랫폼 경쟁력 강화 초점
미국, 빅테크 불공정 관행 지적…韓 고정밀 지도 해외 반출 금지 등
"국내 플랫폼 경쟁력 있는 유일한 국가…진흥법제로 방향성 전환해야"
미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한국의 플랫폼 환경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정책에 대응해 한국 플랫폼에 규제 도입보다는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진흥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이 자국의 빅테크 기업에 대한 불공정한 규제가 있다며 한국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국내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강화한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5기 디지털플랫폼 정책포럼 출범 및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이를 위해 올해 기술‧산업 등 분야 전문가를 신규 위원으로 확충했으며 위원장은 이원우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연임했다. 포럼은 연구의제 확정 및 각 연구반을 구성해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고, 올해 말 정책 제안 등 최종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구글이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데이터 해외 반출을 2차례 요청했지만 정부는 안보 우려를 들어 불허했다. CCIA는 한국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역시 미국 업체에 대해 시장 접근을 막는 장애물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서비스산업연합(CSI)도 한국이 검토 중인 플랫폼 기업 관련 입법이 부당하게 미국 기업을 겨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정위가 미국 기업에 과징금, 기소 등으로 위협하고 있고, 플랫폼 기업 관련 규제 입법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과 달리 검색·모바일 메신저·전자상거래 등에서 경쟁력 있는 국내 플랫폼 사업자들이 존재한다. 국내 검색엔진은 네이버의 시장 점유율이 약 6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미국과 EU에선 구글이 80~90%로 압도적 1위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역시 미국과 EU에선 아마존이 40%로 1위지만 한국은 쿠팡과 네이버가 각각 22%, 20.7%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최민식 경희대 법무대학원 교수는 "한국은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 기업이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글로벌 플랫폼과 자국 기업이 경쟁관계에 있는 거의 유일한 경우"라면서 "플랫폼 사업자를 규제 대상으로 하는 규제 관련 별도 법률을 제정하는 것 외에도 진흥법제로 방향성을 전환해 벤처스타트업 기업 진흥에 필요한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박진영 기자 sunlight@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