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인피니언·美 온세미 감원
中 자체공급망 강화에 직격탄
中 자체공급망 강화에 직격탄
[사진 = 온세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기차(EV)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분야에서 서구와 일본 업체들이 잇달아 인원 감축과 투자 축소에 나서고 있다. EV 시장 성장세가 예상보다 둔화하면서 생산능력 과잉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전력반도체 세계 1위 업체 독일 인피니온은 직원 1400명을 해고하고, 또 다른 1400명에 대해서는 업무를 전환해 배치할 예정이다. 2위 기업인 미국 온세미도 구조조정을 통해 약 1000명을 줄일 계획이고, 3위 업체인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조기 퇴직자를 모집할 방침이다.
일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는 야마나시현 공장의 전력반도체 양산 개시 시점을 연기하고 연내 수백 명을 퇴직시키기로 했다. 르네사스 공장 가동률은 지난해 3분기 40%에서 4분기 30% 정도로 삭감됐다.
구조조정은 부품·소재 분야로도 확산하고 있다. 전력반도체용 웨이퍼(기판)를 생산하는 미국 울프스피드는 연내 전체 직원의 20%에 해당하는 1000여 명을 해고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산켄전기는 전력반도체 복합 부품의 증산 시작 시점을 당초 예정이었던 2024년에서 2년가량이나 연기했다.
전력반도체란 시스템반도체나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전자기기에 들어오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데 필요한 핵심 부품이다. 파워반도체라고도 불리며 모바일기기와 EV에 많이 사용되는데 에너지 절약 성능과 EV 주행거리를 좌우한다. 인공지능(AI)용 반도체와 함께 반도체 산업의 성장 분야로 꼽히며 EV 시장 확대를 내다본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그동안 앞다퉈 투자해왔다.
이에 따라 전력반도체 재고도 쌓여가고 있다. 서구와 일본 업체 7곳이 전력반도체를 생산한 후 판매까지 걸리는 기간은 지난해 4분기에 99일로, 전년 동기 대비 18% 늘어났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에 대한 중국 수출을 규제하자, 중국 업체들이 파워반도체에 투자를 집중해왔다는 것이다. 한 일본 기업 간부는 닛케이에 “중국 기업들과 제품 성능 차이는 몇 년쯤 전 거의 없어졌다” 고 말했다.
BYD는 기존에 르네사스 등으로부터 전력반도체를 조달한 것으로 보이는데, 지난해 초부터는 자체 전력반도체 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닛케이는 높은 기술력을 보유했으나 자금과 규모 면에서 서구 업체에 뒤지는 일본 기업들이 함께 설비투자를 하며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시바와 롬은 약 3800억엔(약 3조7000억원), 후지전기와 덴소는 약 2100억엔(약 2조원)을 공장에 투자할 방침이다. 덴소와 롬은 일부 출자를 통한 협력도 검토하고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