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카드 이용규모 일평균 3.4조, 4.1%↑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로 상승폭은 줄어
비대면지급·모바일 기기 등 이용 간편지급 확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4년 중 국내 지급결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카드 이용규모는 일평균 3조4000억원으로 전년 3조3000억원 대비 4.1% 증가했다. 다만 상승률은 코로나19 공포가 잦아들며 소비가 회복된 2022년(12.7%)과 그 이듬해인 2023년(6.2%) 대비 줄었다.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와 흐름을 같이 한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22년 8.8%에서 2023년 5.1%, 지난해 3.2%(잠정치)로 점차 줄었다.
후불형과 직불형은 지난해 각각 일평균 2조7000억원, 7000억원 이용했다. 전년 대비 각각 4.3%, 3.7% 증가한 수치다. 선불형(-28.7%)은 일부 카드사의 지역사랑상품권 사업 종료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지속됐다. 서울사랑상품권 판매대행점은 지난해 4월 신용카드사(신한카드)에서 전자금융업자로 변경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기기 등 이용 지급 비중 52.4%…간편 지급↑
이 중 전업카드사의 개인 및 법인 신용·체크카드(국내 가맹점) 이용을 기준으로 지급형태별 사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용 규모는 일평균 3조원(잠정치) 수준이었다.
접근 기기별로는 PC, ARS, 생체인식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등(실물 카드 제외)을 이용한 지급 규모가 일평균 1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지만, 실물 카드를 이용한 지급 규모(일평균 1조4000억원)는 2.3% 감소했다. 전체 이용규모 중 모바일기기 등을 이용한 지급 비중은 52.4%였다. 모바일기기 등의 이용 비중은 2023년 실물 카드를 넘어선 이후 지난해 격차를 더 키웠다.
간편 지급 서비스 중 정보통신기술(ICT)업체, 휴대폰 제조사 등 핀테크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비중은 70.3%로 확대됐지만, 카드사 이용 비중은 29.7%로 줄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모주 청약 활성화…전자어음 발행·소액결제망 활용↑
지난해 어음·수표 이용규모는 일평균 16조원으로 전년(15조6000억원) 대비 2.7% 증가했다. 자기앞수표(-16.6%)는 정액권 및 비 정액권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다. 어음은 공모주 청약 관련 전자어음 발행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4.2% 늘었다.
지난해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규모는 일평균 99조2000억원으로 전년 92조7000억원 대비 7.0% 증가했다. 전자금융공동망을 이용한 계좌이체 규모(일평균 90조4000억원)는 인터넷뱅킹(10.3%)과 급여지급, 대금결제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법인용 금융거래시스템인 펌뱅킹(9.7%)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커졌다. CD공동망(-14.4%)은 감소세를 지속했다. 오픈뱅킹공동망의 계좌이체 규모는 일평균 2조원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한편 지난해 국내은행 일평균 인터넷뱅킹(모바일뱅킹 포함) 이용 건수는 2551만건, 이용 금액은 87조2000억원이었다. 전년 대비 각각 12.6%, 6.3% 증가했다. 국내은행의 타행 이체 외 자행 이체도 포함하는 기준이다. 상호저축은행·서민금융기관 등은 조사대상기관에서 제외했다.
일평균 모바일뱅킹 이용 건수(2267만건)와 금액(16조9000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14.2%, 10.9% 늘었다. 전체 인터넷뱅킹 이용 규모 중 모바일뱅킹이 차지하는 비중은 건수와 금액 각각 88.9%, 19.4% 수준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비대면 대출 신청 서비스 이용 건수(3만7000건)와 이용금액(8000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7.5%, 31.7% 줄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