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광주CBS 라디오 1FM 103.1MHz (월~금, 16:30~17:30)
■ 제작 : 김지희 PD, 이향미 작가
■ 진행 : 정정섭 아나운서
■ 방송 일자 : 2025년 3월 25일(화)
개관 10주년 기념 전시 : 8월 24일까지 '애호가 편지', '아시아 대중음악 컬렉션'
ACC 수요극장 : 4월 2일 국립극장 기획 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ACC 퍼니 -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 4월 11일~12일
ACC 수요극장 : 4월 2일 국립극장 기획 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ACC 퍼니 -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 4월 11일~12일
김은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교류홍보과 사무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
[다음은 김은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교류홍보과 사무관 인터뷰 전문]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진행자> 이번 시간은 한 주간의 문화 소식,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함께하는 시간입니다. 오늘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교류홍보과 김은주 사무관 연결하겠습니다. 사무관님, 안녕하세요.
◇진행자> 개관 10주년으로 준비한 첫 전시가 개막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그 소식 먼저 전해주시죠.
◇진행자> 청취자분들이 CBS 매거진에 보내주시는 의견이 저에게 보내주시는 팬레터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데 전시 제목의 팬레터는 누가 누구에게 보내는 편지인가요?
◆김은주> 네, 이번 '애호가 편지'의 팬레터는 도시민의 애환을 달래주고 흥을 돋우는 트로트에 보내는 팬레터이자 보이지 않는 곳곳에서 일상을 담담하게 꾸려온 우리에게 보내는 팬레터이기도 합니다. 대중음악은 도시화와 근대화의 산물이자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트로트와 2박자 뽕짝 리듬의 아시아 대중음악을 매개로 도시 속 삶의 정취를 작품을 통해 담아내고 있습니다. 복합전시 2관의 1층에는 '트로트와 도시 소리 풍경'을 주제로 9개 작품이 전시되고, 2층에는 '경계를 넘나드는 아시아 뽕짝'을 주제로 태국, 일본, 인도네시아, 베트남, 캐나다 작가의 작품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개관 이래로 ACC가 수집해 온 '아시아 대중음악 컬렉션' ACC 아카이브 전시에서는 아시아 4개국의 음악을 들어볼 수 있고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음반 회사인 오아시스레코드사와 함께 준비한 '오아시스레코드로 보는 트로트의 역사와 변천' 코너에서는 오아시스레코드사가 발매한 음원과 트로트 관련 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김은주> 네. 전시는 8월 24일까지 계속하는데요. 제가 지난 주말에 보니 아이와 함께 찾은 가족 관람객과 연세 지긋한 부부 관람객, 친구와 즐기러 온 분들 등 다양한 관람객들이 전시를 즐기고 계시더라고요. 복합전시 2관은 원형 구조물에 포켓 형태의 전시 공간이고 뽕짝 리듬에 몸이 저절로 움직여지는 작품들이 많이 있으니까 눈치 볼 것 없이 리듬에 몸을 맡겨보시면서 즐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진행자> 방송 끝나고 바로 가보고 싶습니다. 다음 소식도 전해주시죠.
◆김은주> 4월 2일 'ACC 수요극장' 프로그램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국립극장의 3개 전속단체, 국립창극단과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참여하는 국립극장의 기획 공연 '명색이 아프레걸'입니다. '아프레걸(apres-girl)'은 한국전쟁 이후 새롭게 등장한 여성상을 일컫는 당대 신조어로 봉건적 사회구조와 관습에 얽매이기를 거부하며 사회 안에서 자신의 주체적 역할을 찾은 여성을 말합니다. 이 공연의 주인공인 아프레걸은 한국전쟁 후, 격동의 시절에 등장한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인 박남옥입니다. 박남옥은 생후 6개월 된 아기를 업은 채 영화 현장에서 배우, 스태프들의 점심까지 직접 차려가며 한국 영화사의 한 획을 그은 영화 '미망인'을 만들어냈는데요. 작품은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 꿈을 잃지 않았던 박남옥의 주체적이고 파란만장한 삶과 영화 '미망인'의 서사를 교차하며 시대를 앞서간 여성 영화감독의 삶과 고뇌를 풀어냅니다. 7세 이상 관람이 가능하며, 상영 시간은 100분으로 4월 2일 수요일 저녁 7시부터 문화정보원 극장3에서 진행하고, 사전 신청은 누리집을 통해서 하시면 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진행자> 지금과 비교하면 얼마나 어려운 시대를 살아내셨을지. 시대를 앞서간 분들은 세대를 떠나 항상 귀감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다음 소식도 전해주시죠.
◇진행자> 비단 정신적 장애뿐만 아니라 우리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어려움 속에서 자기 자신을 직시하고 문제를 직면하면서 한 발짝씩 나아가는 과정을 공감할 수 있는 공연인 것 같습니다. 또 준비하신 소식이 있을까요?
◆김은주> 문화전당 도서관은 4월 12일 '도서관의 날'을 맞아 베스트셀러 '대온실 수리보고서'와 '식물적 낙관'의 저자 김금희 작가를 초청하여 북토크와 삽화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금희 작가는 2009년에 등단하여 신동엽문학상, 젊은작가상, 현대문학상, 김승옥문학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작가인데요. 4월 1일부터 두 달간 '식물적 낙관'의 표지 및 삽화 전시가 도서관 이벤트홀에서 열리고, 4월 5일 2시부터 4시까지 극장3에서는 김금희 작가의 강연과 사인회가 있습니다. 강연회는 무료이고요. 3월 28일에 누리집에 신청 페이지가 열릴 예정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진행자> 4월 12일이 '도서관의 날'이군요. 김금희 작가의 팬분들에게는 작가와 대화와 사인회까지 기쁜 소식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소식만 더 들어볼까요?
◇진행자> 어린이날이 아직 멀리 있는 것 같지만 아이와 함께 즐기시려면 인기 공연은 서둘러 예매하셔야겠습니다. 오늘도 풍성한 ACC 소식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교류홍보과 김은주 사무관이었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