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우 "사업구조 리스트럭처링, 경쟁력 강화 통해 반등 약속"
주주환원율 30→35% 상향…"유동성 위기 없다고 자신"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이사가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여기 앉아계신 주주 중에 최근 주가를 보고 혹시 웃은 분이 계시나요? 아마 없을 겁니다."(롯데지주 소액주주)
"작년 주주총회부터 현재까지 저희 주가가 16.7% 하락했는데,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4.7% 하락한 점을 보면 저희가 정말 잘하지 못했습니다."(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이사)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롯데지주(004990) 정기주주총회는 주가 하락 사태에 대한 개미들의 성토장에 가까웠다. 회사 측은 소액주주들에게 사과하며 기업 가치를 높이고 주주 환원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지난해 초 3만 3350원(2월 7일)이었던 롯데지주 주가는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연말에는 1만 9820원(12월 9일)까지 41% 하락한 바 있다. 배당금도 지난해에는 주당 1500원이었지만 올해는 1200원으로 300원 줄었다.
이 대표는 최근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보유 자산에 대한 그룹 차원의 재평가를 통해 자본을 확충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평가 전 롯데쇼핑의 자산은 10조 5000억 원이었는데 재평가 후에는 17조 원으로 늘었고, 호텔롯데 등 관계기업도 자산이 6조 1000억 원 증가했다"며 "총 12조 6000억 원의 자본을 확충해 부채 비율이 롯데쇼핑은 59%, 호텔은 57% 감축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롯데지주는 주가 방어를 위해 △비주력 사업 및 저효율 자산 매각 등 구조조정 △유휴 부지 처분 등 재무구조 개선 작업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 대표는 "그동안 우리가 벌고 있는 에비타(EBITDA·상각전영업이익)를 초과해 투자 한 점을 반성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투자할 때 우리가 갖고 있는 에비타의 범위 내에서 투자 지원을 하는 쪽으로 엄중하게 검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인구 구조상 성장은 한계가 있어 글로벌에 진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글로벌 사업이 안정적으로 안착하고 있고 인도 등 확대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또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신성장동력 육성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롯데지주 정기주주총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롯데그룹의 유동성 위기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이날 주총장에서 한 소액주주는 "홈플러스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느냐. 월드타워가 담보로 잡혔다는데, 갈 데까지 간 것 아니냐"라며 "미래에 어떻게 하겠다는 이야기보다는 지금 당장의 유동성 위기를 어떻게 할 것인지 답하라"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유동성 문제는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것과 롯데지주가 (실제로) 갖고 있는 체력에는 차이가 있다"며 "지난해 유동성 관련 악의적인 유튜브 동영상이 돌고 공교롭게 4일 후에 회사채 발행 이슈가 있어 풍문이 사실인 것처럼 증폭된 면에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유동성 문제가 2조 원 정도인데, 자산 가치가 6조 5000억 원인 월드타워를 담보로 제공한 만큼 유동성 문제는 해소가 됐다고 자신 있게 말씀드린다"라며 "비주력 사업에 대한 처분도 실질적으로 진행하면서 지금 약 3조 원 정도의 현금을 확보했고, 현금성 자산만 3조 5000억 원 정도로 여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유동성 문제는 정말 자신 있게 말씀드리지만, 저희의 본원적 경쟁력에는 문제가 없다"며 "유동성 위기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는 자기자본보다 낮게 프로젝트 파이낸싱(PF)를 가져갈 예정"이라며 "롯데건설 부채는 연말까지 2조 8000억 원으로 가져가려 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이 대표는 호텔롯데 기업공개(IPO) 일정을 묻는 말에 "지금 면세점이 굉장히 어려워지면서 현실적으로는 조금 어렵다"라며 "나중에 분위기가 성숙되면 다시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themoon@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