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 연구기관 보고서 발표
해저 케이블 역량 축적 자평
해저 케이블 역량 축적 자평
대만에 나포된 선박(가장 우측). [ EPA 연합뉴스] |
최근 발트해와 대만해협 등에서 해저 케이블 절단 사례가 잇따른 가운데 서방 일각으로부터 ‘배후’ 의혹을 받고 있는 중국이 국제 해저 인프라를 지키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26일 환구시보에 따르면 전날 중국 공업정보화부 직속 연구기관인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의 국제 통신 해저 케이블 건설·보호 참여 상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다년간의 노력 끝에 중국이 비교적 완결성 있는 해저 케이블 산업망을 구축했고, 중국 기업이 글로벌 해저 케이블 설비 생산·시공·보수에 참여하는 중요한 역량이 됐다고 자평했다.
보고서는 중국 해양장비 제조업체들과 해저 케이블 업체들이 함께 수중 로봇과 매설 장비 등 기술 진전을 이끌었고, 중국의 화하이통신이 미국 서브컴(SubCom), 프랑스 ASN, 일본 NEC와 함께 대륙 횡단 해저 케이블을 납품할 수 있는 4대 기업이 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환구시보는 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로 관심을 끈 ‘심해 케이블 절단기’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심中, 강력한 심해케이블 절단기 개발…전세계 네트워크 교란 가능해 케이블은 강철, 고무, 고분자 피복으로 감싸져 있는데, 전 세계 데이터 전송의 약 95%를 담당하는 인프라다.
中, 최근 강력한 심해케이블 절단기 개발…환구시보, 대만해협 등 ‘케이블 절단 배후설’ 일축
지난 22일 SCMP는 중국선박과학연구센터(CSSRC)와 산하 연구팀이 최근 논문을 통해 심해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과제들을 극복한 새 절단기를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이 절단기는 민간 해양 구조 및 심해 자원 채굴을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군사적으로도 활용 가능한 이중 용도(dual-use)기술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해당 논문은 “이제 각국은 자원 개발의 시선을 바다로 돌릴 수밖에 없다. 해양 자원 개발 역량을 키워 중국을 해양 강국으로 만드는 것이 ‘중국몽’ 실현의 핵심 구성 요소”라고 적었다.
해당 절단기 개발 소식은 지난해부터 세계 곳곳에서 부쩍 늘어난 해저 케이블 훼손 사건에 중국·러시아가 배후 역할을 했다는 의혹과 맞물려 주목받았다.
서방 국가들과 대만은 해저 케이블 절단 해역에서 중국 화물선의 활동이 포착됐다는 점을 들어 이런 상황이 중국의 ‘회색지대 전술’(실제 무력 충돌·전쟁으로 확대되지 않을 정도의 저강도 도발로 안보 목표를 이루려는 군사 행동)일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국제 해저 케이블을 훼손해온 중국이 아예 강력한 절단 ‘무기’를 개발했다는 의심인 셈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