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 참여한 송영운 학생연구원(左), 연구책임자인 박지훈 선임연구원(右)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이하 재료연) 나노재료연구본부 박지훈, 김종우 박사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강력한 자석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차세대 비희토류 Mn-Bi(망간-비스무스) 영구자석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대표적인 자석 제조기업 ㈜노바텍에 기술이전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본 기술이 상용화되면 세계 최초로 비희토류 기반의 Mn-Bi 영구자석이 산업에 적용되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영구자석 산업 시장은 Nd(네오디뮴)와 같은 희토류 원소가 주요 재료였다. 이는 중국의 희토류 공급 정책의 변화와 가격 변동성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희토류 없이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대체 기술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에 대해 비희토류인 Mn-Bi가 대체 소재로 조명받았으나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Mn-Bi 분말이 강한 자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저온상(LTP) 고순도를 유지해야 하지만, 소결 공정(고온에서 분말을 압축해 단단한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에서 쉽게 산화되거나 상분해되면서 순도가 낮아지는 성질이 그 한계였다. 예를 들어 밀가루를 일정 온도 이상의 물로 반죽할 때 형태 없이 묽어지고 단단한 덩어리를 만들기 어려운 것처럼 Mn-Bi 분말도 고온 소결 과정에서 분해되거나 벌크화(하나의 고밀도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가 어렵다.
재료연 연구팀은 한계를 뛰어넘는 해결책으로 Mn-Bi 비희토류 영구자석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공정으로 고순도 단자구 크기의 Mn-Bi 분말을 개발해 보자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설계의 저온 소결 기술로 자석의 밀도를 95% 이상 높인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자기에너지적 10.5MGOe(메가-가우스-에르스테드)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했다. 또한 소결 이후에도 자성은 유지되고 산화 또는 분해되는 현상이 없어 벌크화와 상용화 수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연구팀은 ㈜노바텍과 협력하여 준양산 규모의 장비를 구축하고, 대량 생산과 상용화를 위한 공정을 최적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최대자기에너지적 12MGOe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본 연구성과는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팀은 국내외 특허 출원 8건을 비롯해 각종 논문을 발표하는 등 연구성과를 지속해서 축적하고 있다.
박시현 인턴기자 park.sihyun1@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