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경북 사망자 대부분 고령자…바람 방향 바뀌며 실시간 대피 장소 바뀌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한 도로에서 발견된 산불에 불탄 차량을 경찰이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5일 밤사이 경북 북부권의 산불은 돌풍과 함께 불어닥친 ‘도깨비불’로 번지면서 거동이 불편하거나 나이가 많은 취약계층의 목숨을 대거 앗아갔다.



26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경북 안동(4명)·청송(3명)·영양(6명)·영덕(8명)에서 주민 21명이 산불로 숨졌다. 여기에 이날 숨진 헬기조종사 1명과 지난 22일 경남 산청 화재로 숨진 4명(진화대원·공무원)을 포함하면 영남 산불로 26명이 세상을 떠났다. 이들 대부분은 60~80대다.



숨진 주민 대부분은 집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거나 지방자치단체의 대피명령을 듣고 피하다가 변을 당했다. 실시간으로 바뀌는 바람 방향 탓에 지자체의 대피소 안내가 오락가락한 것도 한몫했다.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 인근에 사는 이아무개(60대)씨는 “25일 오후 3시께는 파천면으로 대피하라고 했다가 30분 뒤에는 안덕으로 가라고 했다. 오후 4~5시께는 청송군민 모두 안전지대로 대피하라고 했다.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긴급문자를 받으니 불안하고 무서웠다”고 말했다.



산악 지대인데다 면적이 넓은 경북 북부 지역의 마을 특성도 고령의 주민들의 빠른 대피를 힘들게 했다. 지자체들은 재난문자로 대피명령을 내린 뒤, 전 직원을 투입해 주민 대피를 시작했다.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에서는 마을 이장이 자신의 차로 다른 주민의 대피를 도우려다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지기도 했다.



영양군 한 관계자는 “오후 5시30분 유선 대피 안내와 동시에 직원들과 이장님들이 직접 주민들을 대피시키기 시작했다. 불길이 영양에 이르렀다는 최초 신고가 20분 뒤에 접수됐는데, 그때부터는 돌풍과 함께 불길이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번졌다”며 “영양은 인구는 적지만 면적은 서울보다 넓다. 산골짜기마다 고령의 주민들이 살고 계신다.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했지만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지자체 한 관계자는 “대피명령이 내려지면 지자체 인력은 물론 경찰, 소방이 모두 동원되어 주민들을 대피시킨다. 이 인력이 사실상 산불 진화 지원도 하고, 대피 지원도 하는 셈이다. 역대급 재난에 절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규현 이승욱 정봉비 기자 gyuhyu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