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 사건 재판장은 경북 포항 출신의 최은정(53·사법연수원 30기) 부장판사다. 한국외대 법대를 졸업해 2001년 수원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대구지법 부장판사 등을 지냈다. 주심 이예슬(48·31기) 부장판사는 전남 순천 출신으로 고려대 법대 출신이다. 2002년 수원지법에서 임관해 서울중앙지법·서울행정법원을 거쳐 대법원 재판연구관 등을 지냈다.
광주살레시오고·서울대 법대 출신인 정재오(56·25기) 부장판사는 1999년 서울지법 남부지원에서 임관했다.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심의관을 지냈고, 2009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전·수원 등에서 줄곧 고법에서 근무했다. 작년 12월 퇴임한 김상환 전 대법관 후임으로 대법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이 재판부는 지난해 12월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으로 기소된 손준성 대구고검 차장검사(검사장)에게 징역 1년을 선고한 1심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같은 해 6월에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아들에게 허위 인턴 확인서를 발급해주고도 한 인터넷 방송에서 “(조 전 대표 아들이) 실제 인턴을 했다”고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최강욱 전 민주당 의원에게 1심과 같이 벌금 80만원을 선고했다.
[박강현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