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우 연세대 의대 정형외과 교수가 2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한겨레와 인터뷰 하고 있다. 정용일 선임기자 yongil@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이달 내 의대생 복귀라는) 전제조건을 달아 2026학년도 입학 정원을 증원 전과 같은 3058명으로 돌린 것은 굉장히 큰 태도 변화다. 이제는 의대생이 돌아와야 할 때다.”
이진우 대한의학회장은 26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의대에서 한겨레와 만나 수업 복귀를 거부하는 의대생을 향해 이렇게 말했다. 연세대 의대 교수(정형외과)인 이 회장은 “휴학을 이어갈 때 의대생 개개인의 피해도 크다”며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의대생이 자유의사에 따라 복귀를 결정하는 것에 대해 존중한다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학회는 지난달 교육부에 2026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3058명으로 돌려달라고 요구한 의료계 단체 8곳 중 하나다. 의학회는 지난해 11월부터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해 정치권과 네 차례 2025·2026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 조정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의대생 복귀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
“의대생들이 이제는 의학 교육 현장으로 돌아와 줬으면 한다. 복귀하는 것이 의료계를 위해서도, 국민을 위해서도, 자신을 위해서도 좋다. 지난 1년간 의대생들의 휴학이 전국민에게 의료체계의 문제점을 알렸고, 의료계 투쟁의 동력이 됐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 상태로 휴학이 지속될 때 또 다른 모멘텀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의대생 복귀의 ‘골든타임’인 이번 주를 놓치면 결국 지난해와 똑같은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의학 교육을 통해 의사를 배출하고, 이들이 전공의 수련을 받아 전문의가 되는 선순환이 이뤄져야 하는데 지난해에는 사실상 중단돼 의학 교육·진료 현장이 망가졌다. 이미 의사 면허가 있는 전공의 등 선배 의사들에 견줘 제적·유급 위험이 있는 의대생의 피해가 가장 크기도 하다.”
―정부가 이달 내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입학 정원을 3058명으로 돌린 데 대해 어떻게 평가하나?
“정부가 굉장히 큰 태도 변화를 보인 것이다. 지난 1년간 정부는 2000명 증원에서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는 완고한 태도를 보였다. 정부가 3058명으로 돌리는 결정을 내리기까지 (의료계와) 굉장히 지리하고 힘든 대화의 과정을 거쳤다.
정부 발표의 방점은 복귀를 촉구하면서 3058명으로 돌리는 데 있지, 복귀하지 않으면 유급 ·제적하고 5058명으로 하겠다는 데 있지 않다. 젊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이 크기 때문에 후자에 방점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의대생 복귀 골든타임을 살리기 위해 유급·제적보다는 이런 사태를 만든 데 대한 유감과 의학교육 현장으로 돌아와 달라는 것을 강조해줬으면 한다.”
―연세대 의대 복귀 상황은 어떤가?
“학년당 정원이 110명인데 20명 내외가 복귀해 수업을 듣고 있다. 과반이 복학 신청을 한 상태이고, 복학하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 제적 예정 통보서가 발송됐다.”
―아직 복귀하지 않고 있는 의대생이 상당수 있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나?
“1년간 휴학하고 희생했는데 얻은 것도 없이 돌아가기는 힘들다는 자괴감, 열패감 등 때문인 것 같다.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2026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아예 뽑지 않거나 1500명 수준으로 줄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사회적 합의를 얻기 굉장히 힘들다.
의대생들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철회를 주장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의료 제도가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은 부분도 분명히 있다. 패키지의 필수·지역의료 강화, 의료사고 안전망 확충 등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의료계에서 평소 주장해온 내용이다. 물론 구체적인 내용이 만족스럽지 않지만 하나하나 (정부와) 논의해 만들어가야지,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하는 것은 대한민국 의료와 국민을 위해 바람직한 방향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의대생은 돌아오고, (패키지 내용과 정원 조정 등에 대한) 이후 논의는 선배 의사들이 의대생들의 의견을 반영해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올해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24·25학번을 함께 교육하는 것은 가능한가?
“교육이 가능하도록 여러 모델을 만들었고, 대학별로 현장에 맞는 모델을 선택해 적용하게 된다. 물론 만족스럽지는 않겠지만 정상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대학 등이) 현장에서 책임을 다할 것이고, 정부도 정상화를 위해 모든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으니 믿고 따라줬으면 좋겠다. 현실적인 대안들을 마련해 가야지 계속 정상적인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주장만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더 늦어지면 문제를 해결하기는 더 힘들어진다.”
―의대생들이 복귀하려면 의료계가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나?
“자유의사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줘야 한다. 의견이 다른 데 대해 비판은 할 수 있지만, 비난하고 (건국대 의대 사례처럼) ‘동료로 여기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과하다. 의협이 의대생들이 자유의사에 의해 판단해 돌아가는 데 대해 비난하거나 방해하지 말고 결정을 존중하라고 선언했으면 한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