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2조원, 약 5% 증가…보증 1천64조, 금융투자상품 376조
"금리 인하가 부동산 자금 쏠림 자극할 수 있어 유의해야"
토지허가제로 지정된 용산구 부동산 |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국내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 약 2천682조원까지 불어났으며, 이 중 거의 절반은 가계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중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2천681조6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년 말보다 122조1천억원(4.8%) 늘었으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105.2%로 집계됐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국내 부동산 부문 충격이 금융기관과 금융투자자 등 경제주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규모를 뜻한다.
그러나 각 부문은 취급·실행과정에서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을 단순 합산하면 관련 위험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는 게 한은 측 설명이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 구성 |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가계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8.8%에 달한다.
상업용 부동산 등 비주택 담보대출이 상가 공실률 상승 등 시장 여건 악화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를 나타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특히 가계 부동산 대출 중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부동산·건설업종 기업 대출은 1.8% 늘어난 623조3천억원으로 추산됐다.
2023년 4.4%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축소됐는데, 건설업의 경우 금융기관들의 위험 관리 강화 영향으로 잔액이 줄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 187조3천억원)의 경우 구조조정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부동산 관련 대출 현황 |
한은은 "우리나라의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증가세가 둔화하는 추세지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 부동산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부 부문에서는 잠재 리스크 누적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융 여건 완화가 부동산 등 위험자산 선호를 자극하고 자산매입을 위한 대출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부동산 부문으로의 금융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동산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ssun@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