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연 "재난 극복과 경기침체 방어 위한 추경 시급"
"국내 상황 추경 편성 요건에 해당…재정건정성 양호"
"올해 잠재성장률(2%) 수준 달성 위해 9.8조 추경 필요"
26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에서 야산으로 산불이 번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소 9.8조 추경 필요…재난 지원·내수 활성화에 우선 투입”
신지영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발간한 ‘재난 극복과 경기 침체 방어를 위한 추경이 시급하다’는 제목의 경제주평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최소 9조 8000억원의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신 연구위원은 “과거 경제 위기 시에도 추경 편성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이듬해에 경제성장률이 반등한 경험이 있다”며, 정부 예산이 우석적으로 추가 투입돼야 하는 부문으로는 영남 지역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원과 내수 활성화를 위한 민간소비 및 일자리 창출 등을 꼽았다.
이어 재정지출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큰 사회간접자본(SOC) 등 정부투자 관련 분야와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중소기업·에너지 등 분야에도 추경을 통한 예산 집행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추경 요건 성립…재정건전성 양호해 부담 적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추경 필요성에 대해서도 못을 박았다. 경제 성장률 측면에서나 대내외 위기 요인을 고려했을 때나 논란이 되는 것은 규모이지 추경 자체는 필요하다는 견해다.
신 연구위원은 “최근 국내 경기 여건은 추경 편성 요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정건전성 또한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추경 편성은 단기적으로 재정의 안정성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현재 국내 경제 상황은 국가재정법 제89조 1항의 추경 요건 중 ‘경기침체’에 해당되며, 이외에도 최근 일련의 환경 변화상에서 ‘대외 여건에 중대한 변화(관세전쟁)’, ‘자연 재난(영남 지역 산불)’ 등에 해당한다”고 봤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경제전망을 제시하면서 추경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달 11일 “재정정책에서 추경은 법적으로 경기침체, 대량 실업이 발생했을 때여야 한다. 현재 경제 상황을 경기침체로 판단할 수 있는가 묻는다면 ‘아니다’라고 생각한다”며 “이런 측면에서보면 법적으로 추경 요건이 갖춰졌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KDI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1.6%로 전망했다.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