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고 수험생 43인, 국가 상대 손해배상소송
法 "41인에 300만원, 2인엔 100만원 배상"
재판부 "재수 등 구체적 손해 인정 증거 없어"
수험생 대리인측 "현저히 부당…항소할 것"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진 지난해 11월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반포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서울중앙지법 제30민사부(부장판사 김석범)는 경동고 수능 타종 사고로 피해를 본 수험생 43명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법원은 국가가 수험생 2인에게는 100만원씩, 나머지 수험생들에게는 300만원씩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당초 수험생들은 1년 재수 비용 등을 감안해 1인당 2000만원 배상을 청구했지만 그보다 훨씬 적은 금액만 인정된 셈이다. 교육부 측은 타종 사고는 단순 사고로, 수험생들 청구를 기각해달라고 주장해왔다.
재판부는 “타종사고와 그 후속조치는 시험장 책임자 및 타종 담당 시험감독관이 국가행정사무로 수능 관리 직무를 수행하면서 공평, 공정하게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할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한 위법한 행위에 해당한다”며 “수능 수험생들에게 갖는 중요성과 의미, 시험 종료 시각의 준수가 지니는 중요성, 시험 문제를 풀고 답안을 작성하는 수험생들의 개별적 전략 등을 고려하면, 원고들이 이 사건 불법행위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겪었음은 경험칙상 명백하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11월 16일 수능 당일 경동고에서 치러진 1교시 국어영역 시간 때 시험 종료벨이 1분 일찍 울렸다. 경동고는 수동 타종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이를 맡은 교사가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마우스를 잘못 건드린 탓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학교 측은 2교시가 종료된 뒤 점심시간에 다시 1교시 국어영역 시험지를 수험생에게 배부했고, 1분30초간 문제를 풀고 답을 기재할 시간을 주었지만 답지 수정은 허락하지 않았다.
수험생 측은 사고 후 한 달이 지나도록 교육당국이 피해 학생에게 사과도, 재발 방지책도 언급하지 않았다며 타종 실수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27일 서울중앙지법 서관 앞에서 김우석 법무법인 명진 대표변호사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백주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1심 선고 후 수험생 대리를 맡은 김우석 법무법인 명진 대표변호사(전 전주지방검찰청 정읍지청장)는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시간 하나 똑바로 못 맞춰서 사고가 일어난다는 게 있을 수 없는 데다가 교육부는 이런 상황을 알면서도 상황을 방치하고 법원은 피해를 입은 학생에게 100만~300만원 배상하라는 게 납득되지 않아 항소를 진행해서 판단을 받아보겠다”고 밝혔다.
김 변호사에 따르면 300만원 배상 판결을 받은 나머지 학생들과 달리 1인당 100만원 배상 판결을 받은 학생들의 경우 △한 문제만 마킹을 못해 추가 시간에 마킹을 한 경우 △평상시보다 성적이 더 좋게 나온 경우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김 변호사는 “수능 시험이라는 게 1문제 차이로 등급이 갈리고 대학이 갈리고 합격 과가 달라지는 만큼 시험 종료 직전까지 사력을 다해 준비한 학생들에게 남은 시간은 고민되던 문제를 어떻게 답할지 고민하는 시간인데, 그 시간을 빼앗긴 것”이라며 “현저히 과도한 결과로 교육 당국 자제분들, 이 재판 하신 법관 자제가 이런 일을 겪었다고 하면 그 손해를 어떻게 생각할지 한 번 더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