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 등 자동차 부품에도 25% 부과
한국 타격 불가피…자동차, 대미 수출 1위 품목
“관세로 2년 안에 1조 달러 조달 전망”
한국은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이 멕시코와 일본, 캐나다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내달 2일로 예정된 상호관세와 함께 발효될 예정이다.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한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 비상이 걸렸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는 국내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한 많은 공장 건설로 이어질 것”이라며 “우리는 실제로 25% 관세를 부과하겠지만,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한다면 관세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관세는 4월 2일 발효되고 우린 3일 징수를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후 윌 샤프 백악관 문서 담당 비서관은 “새 관세는 외국산 승용차(세단, SUV 등)와 경트럭에 적용된다”며 “이미 부과된 관세에 추가로 부과되는 것”이라고 알렸다. 이어 “이번 관세로 미국에 연간 1000억 달러 넘는 새로운 수입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자동차 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과반은 외국에서 생산된 것들로, 주로 멕시코와 캐나다, 일본, 한국, 독일이 맡고 있다. 특히 한국은 자동차가 대미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위기다. 미국 상무부의 신차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66억4000만 달러(약 54조 원)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궁극적으로 우리가 관세를 통해 6000억~1조 달러 사이의 자금을 비교적 단기간에 조달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 즉, 당장 시작하면 2년 안에 그렇게 늘어날 것”이라며 “그 돈은 미국의 부채를 대폭 줄이고 세금을 줄이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투데이/고대영 기자 (kodae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