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창민 기자(=제주)(pressianjeju@gmail.com)]
대한민국 헌정사에 최대 비극으로 기록된 제주 4·3이 책임자 논란으로 비화되고 있다. 더없이 엄숙해야 할 제77주년 4·3 추념식을 앞두고 지역 정가에서 나온 책임론에 대해 '부적절한 처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제주 4·3평화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제주도당은 27일 논평을 내고 "4·3 학살의 원흉이자 책임자로 지목받는 조병옥 경무부장은 더불어민주당의 뿌리"라며 민주당을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작년 제76주년 4·3 추념식에 참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엄숙한 추념식장에서 '4·3학살의 후예는 국민의힘'이라는 극언을 내뱉고 갔다'"며 "제주 국회의원 선거 시기에 4·3이 갖는 중대한 의미를 이용하고, 선거에서 표를 계산한 행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주당 역사에 대한 공부도 전혀 돼 있지 않고, 아무 말 대잔치의 대가인 이재명은 4·3 희생자와 유족을 위로하는 경건한 장소에서 표를 얻기 위한 얄팍한 속임수를 쓰고 갔다"면서 "당시 추념식장에 앉아서 카메라 앞에서 흘린 이재명의 눈물은 전형적인 악어의 눈물이었다"고 꼬집었다.
앞서 국민의힘 소속 태영호 의원은 2023년 제주 4·3평화공원을 찾은 자리에서 '4·3 사건은 명백히 김일성 일가에 의해 자행된 만행이다. 김 씨 정권에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무한한 책입감을 느끼며 희생자들에게 무릎꿇고 용서를 구한다"며 김일성 지령설을 제기해 국가공권력에 의한 희생으로 규정한 4·3진상보고서 내용을 정면 부정했다.
또한 국힘 소속 김재원 의원은 '대통령은 통상 3·1절 정도는 돼야 참석하는 데 제주 4·3추념식은 이보다 격이 낮은 기념일"이라며 4·3폄훼 막말을 서슴없이 내뱉었다.
게다가 지난해 봉행된 4·3추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등이 참석하지 않으면서 제주 도민들의 원성은 극에 달했다.
이어 "국가의 존재 이유 중에 제일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악의를 가지고 역사를 왜곡하고 사실을 조작하는 것은 유족과 피해자를 고통 속으로 다시 밀어 넣는 행위이며, 이들에 대해선 엄정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창민 기자(=제주)(pressianjeju@gmail.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