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그제(26일) 진화 작업을 하다 추락한 헬기는 30년이 넘은 노후 기종이었습니다. 산불 진화 헬기 노후화는 하루 이틀 일이 아닌데, 절대적인 숫자까지 부족해 헬기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도에 홍영재 기자입니다.
<기자>
의성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을 하다 추락한 사고 헬기는 강원도가 올해 초 임차했을 때 이미 30년 가까이 된 노후 기종이었습니다.
[이근영/한국교통대 항공운항과 : 소방용으로 전문적으로 나온 그런 헬기는 아니고 VIP 수송용으로 많이 사용했던 헬기입니다. 오래되면 고급 기종이 시장에 저렴하게 나오니까 임차해 가지고.]
정확한 사고 경위는 조사 중이지만, 헬기 노후화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이근영/한국교통대 항공운항과 : 헬기를 비롯해서 모든 비행기들이 기령이 높아지면 고장 날 확률 사고 날 확률은 점점 증가한다고 보시면 되겠죠.]
지자체뿐 아니라 산불 진화의 주역인 산림청 헬기도 50대 중 12대가 30년이 넘은 기종으로 헬기 노후화는 매년 국정감사 때마다 제기되는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헬기 숫자도 부족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부품 수급 문제로 당장 투입할 수 있는 산림청 헬기는 최대 42대뿐, 이마저도 일정 비행시간을 넘기면 정비를 받아야 해 가동률 100%를 유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정부는 군과 소방청 등 가용 가능 헬기를 총동원했지만 진화 전용이 아닌 헬기가 실을 수 있는 물의 양은 1~2천 리터 수준에 불과합니다.
5천 리터 이상을 뿌릴 수 있는 초대형 진화 헬기는 5대에 불과해 전문가들은 큰 산불을 초기에 잡으려면 신속한 대형 헬기 추가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박재성/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 교수 : 대형 산불에서 효과적으로 진화를 하려고 하게 되면 한꺼번에 많은 물을 뿌려야 된다는 것입니다. (대형 헬기는) 강한 풍속에도 이제 헬기를 운행을 할 수가 있는….]
헬기 도입 계약부터 현장 투입까지 최소 3년은 걸려 선제적인 예산 확보부터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안여진)
홍영재 기자 y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그제(26일) 진화 작업을 하다 추락한 헬기는 30년이 넘은 노후 기종이었습니다. 산불 진화 헬기 노후화는 하루 이틀 일이 아닌데, 절대적인 숫자까지 부족해 헬기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도에 홍영재 기자입니다.
<기자>
의성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을 하다 추락한 사고 헬기는 강원도가 올해 초 임차했을 때 이미 30년 가까이 된 노후 기종이었습니다.
[이근영/한국교통대 항공운항과 : 소방용으로 전문적으로 나온 그런 헬기는 아니고 VIP 수송용으로 많이 사용했던 헬기입니다. 오래되면 고급 기종이 시장에 저렴하게 나오니까 임차해 가지고.]
[이근영/한국교통대 항공운항과 : 헬기를 비롯해서 모든 비행기들이 기령이 높아지면 고장 날 확률 사고 날 확률은 점점 증가한다고 보시면 되겠죠.]
지자체뿐 아니라 산불 진화의 주역인 산림청 헬기도 50대 중 12대가 30년이 넘은 기종으로 헬기 노후화는 매년 국정감사 때마다 제기되는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헬기 숫자도 부족합니다.
정부는 군과 소방청 등 가용 가능 헬기를 총동원했지만 진화 전용이 아닌 헬기가 실을 수 있는 물의 양은 1~2천 리터 수준에 불과합니다.
5천 리터 이상을 뿌릴 수 있는 초대형 진화 헬기는 5대에 불과해 전문가들은 큰 산불을 초기에 잡으려면 신속한 대형 헬기 추가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박재성/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 교수 : 대형 산불에서 효과적으로 진화를 하려고 하게 되면 한꺼번에 많은 물을 뿌려야 된다는 것입니다. (대형 헬기는) 강한 풍속에도 이제 헬기를 운행을 할 수가 있는….]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안여진)
홍영재 기자 y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