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웨이 감독 영화 ‘화양연화’(2000)에는 극적인 이야기 전개도, 복잡한 인물 관계도 없다. 사랑의 배신과 또 다른 만남 그리고 이별을 그릴 뿐이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 영화에 빠지는 걸까. 어쩌면 사회적 금기 위반을 아슬아슬 오가는 주인공들에게 욕망을 투사하는 것은 아닐까.
청주대 영화영상학과 교수이자 영화평론가로 활동한 저자가 24년 동안 쓴 영화 글 가운데 12편을 선별해 책으로 묶었다. 사랑을 주제로 한 영화, 사유의 지평을 확장하는 영화, 영화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하는 영화에 대한 저자의 시선을 담은 글들이다.
저자는 ‘화양연화’에서 사랑하면서도 이별을 연습하는 두 주인공을 통해 영화가 사랑의 기억을 어떻게 벗어나고, 추억은 어떤 식으로 회상하는지 알려 준다고 평한다. 지적 장애가 있는 아들과 사는 엄마의 이야기를 그린 봉준호 감독 영화 ‘마더’(2009)에 대해서는 ‘기억과 망각의 놀이’라고 소개한다. 여고생 살인 사건을 시간순이 아닌 타인의 기억을 중심으로 편집한 것을 두고 “봉 감독이 망각과 기억의 장치를 통해 영화를 보는 관객의 정신을 조종하고 통제하며 관객과의 놀이를 즐긴다”고 설명한다.
‘영화에 관한 영화’라고 소개한 이정향 감독의 ‘미술관 옆 동물원’(1998)에 대해서는 영화 속 허구와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는 과정과 의미를 탐구한다. 영화를 찍을 때 관객인 우리는 부재하지만, 영화 속 인물들은 영화를 만들어 가며 프레임과 프레임을 영리하게 오간다.
김기중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