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터무니없는 날조" 항의…외교문서로 드러난 1994년 김일성 사망 비화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TV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외교부는 생산된지 30년이 지난 1994년도 문서를 중심으로 모두 2,506권, 38만여 쪽 분량의 외교문서를 오늘(28일)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문서에는 북한 핵문제 관련 제3단계 북미 고위급 회담, 북한 김일성 주석 사망, 남북한 정상회담 개최 추진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대목은 김일성 사망과 관련한 비화입니다.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자 최고 권력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북한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주베트남 북한대사관은 베트남 언론사가 김일성 사망 이튿날 관련 소식을 보도하자 '터무니없는 날조'라며 항의하다가 이 매체가 북한 조선중앙통신의 기사를 제시하고나서야 상황이 진정됐습니다.

멕시코에서는 멕시코 외교부 차원에서 당시 김찬식 주멕시코북한대사 요청으로 북한대사관 조문록을 대신 설치해줘 우리 대사관이 해명을 요구하는 일도 발생했습니다.

김일성의 후계자인 김정일에 대해서도 각국은 비관적 전망을 내놓습니다.

월터 먼데일 주일미국대사는 김정일을 가리켜 "약간 멍청하고(GOOFY) 어린애 같아(CHILDISH) 지도자로는 부족한 것 같다"며 평가했고, 스탠리 로스 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반기문 주미대사관 공사와의 면담에서 "김일성에 비해 카리스마가 부족하고 정통성이 결여돼있는 데다, 경제난으로 많은 도전을 맞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북러 군사조약을 맺고, 우크라이나전에 북한군을 파병하는 등 북한과의 밀착을 가속화하는 현재의 러시아와 달리 한러관계에 상당히 신경쓰는 모습도 관찰됩니다.

러시아 측이 북한에 판매한 잠수함을 두고 "엔진과 포격시설이 완전히 제거된 선체만 인도된 바 재사용 가능성이 없는 고철 덩어리"라고 밝힌 겁니다.

1994년 1월 11일 러시아 일간지 보도에 러시아 태평양 함대소속 641급(폭스트롯) 디젤잠수함 12척이 수리, 유지 재원 부족으로 북한으로 판매될 예정이며, 북한이 엔진과 기재 일부를 북한 잠수함에 재사용할 수도 있다는 기사가 실린 데 따른 해명이었습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 '민감국가' 지정을 둘러싼 문제도 확인 가능합니다.

한국이 미국 에너지부(DOE)의 민감국가 명단에 올랐을 당시 이 문제가 한미 협력에 장애요인이라고 판단하고, 해제를 위해 논의했던 정황이 담긴 것입니다.

미국은 1981년 1월 민감국가 제도를 처음 시행하면서 한국을 포함했다가 1994년 7월 해제한 바 있습니다.

당시 1993년 에너지부 내부 규정에 따르면, 민감국가 국민은 DOE나 산하 연구소를 방문할 때 "일정 기한 내 신청서 제출, 개인신상검사, 특별보안계획 실시 등 여러 면에서 엄격한 절차"를 적용하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미국이 북한뿐 아니라 한국의 핵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는 점도 엿볼 수 있습니다.

1993년 12월, 윈스턴 로드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코리아 소사이어티' 연례 만찬회에서 "철저함이란 핵 확산 위협이 완전히 해결되고 한국 및 북한의 핵활동에 있어 투병성이 보장되는 의미"라고 남북한 모두 핵확산 금지에 힘써야한다고 강조한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이 담긴 외교문서는 서울 서초동 외교사료관 '외교문서열람실'을 직접 방문해 열람할 수 있습니다. 오는 6월부터 '공개외교문서 열람‧청구시스템' 을 통해 온라인 신청을 거쳐 볼 수 있습니다.

외교부는 국민 알 권리 충족과 외교 행정의 투명성을 위해 생산된 지 30년이 지난 외교문서를 매년 공개하고 있습니다. 공개를 시작한 1994년 이후 현재까지 공개된 외교문서는 약 40,000여 권, 57만여 쪽에 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