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임하면 한 사과밭에 산불이 붙어 피해가 난 모습. 사과나무 밑동이 까맣게 그을려 있다. 김정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산불이 휩쓸고 간 지역 대부분은 사과 주산지로 꼽히는 곳들이다. 안동과 청송 등 경북 북부지역은 전국 사과 재배면적 3만3788㏊ 중 약 60%인 2만46㏊를 차지하고 있다. 생산량도 지난해 전체 사과 생산량 46만t 중 경북이 28만6000t(62.2%)로 압도적으로 큰 비중이다.
━
사과 주산지 휩쓸고 지나간 산불
경북 북부지역 중에서도 가장 사과 재배면적이 넓은 안동은 이번 산불로 큰 피해가 났다. 지난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길안면 한 사과밭은 주변 산림이 시커멓게 불타 있었다.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지난 25일 오후 갑작스러운 돌풍으로 동해안에 있는 영덕까지 치달을 때 그 경로 한가운데 있었던 탓이다.
지난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길안면 한 사과밭에서 산불에 타버린 사과가 쌓여 있다. 김정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솔숲 근처에 세워져 있던 창고, 박스 안에 넣어뒀던 사과도 모조리 타버렸다. 사과나무 인근에 설치된 대형 물탱크도 뜨거운 불길에 엿가락처럼 녹아 있었다. 근처 숲에서는 완전히 꺼지지 않은 불씨 때문에 낙엽 밑에서 하얀 연기가 풀풀 피어오르고 있는 모습이었다.
지난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길안면 한 사과밭에서 인근에 설치된 물탱크가 산불에 녹아내린 모습. 김정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길안면 한 사과밭에서 농장주 조윤진씨가 밭 주변 산불 피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사과농사 새 시작에 5년 걸려”
황씨는 “사과나무가 모두 타 죽었는데 새로 나무를 심고 기르면 상품 가치가 있는 사과가 나올 때까지 최소 5년이 걸린다”며 “월급 받고 사는 회사원도 아니고 5년 동안 아무 소득도 없이 어떻게 살 수 있겠느냐. 지난주에 농협에 대출 받아 산 2600만원짜리 농기계도 다 탔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안동과 청송, 영양 등지에 사과 농사로 생계를 이어가는 농민들의 수가 적지 않다”며 “산불 피해로 사과밭과 삶의 터전을 잃은 농민들이 다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길안면 한 사과밭에서 산불에 타버린 사과나무 새순을 농장주가 살펴보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피해가 없는 일반 새순 모습. 김정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과수·가축 피해 집계 시작 못해
산림당국과 지자체는 현재 산불에 따른 인명과 시설물 피해를 집계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과수나 가축 등 피해는 집계를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규모의 산불이 한꺼번에 여러 지역에 걸쳐 발생하면서 당장 급한 것부터 수습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과수 피해를 집계하는 데는 긴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안동=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