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특임연구원 1호 임용
민간 전문가 데려와 공공 R&D 강화
김명환 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정부출연연구기관에 합류해 국가 연구개발(R&D) 과제를 이끈다. 출연연이 기존 공공기관 규제에서 벗어나 파격적인 보수 지급과 채용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인재영입 제도 ‘국가특임연구원’의 첫 임용 사례가 나온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과학기술 분야 출연연 1호 국가특임연구원으로 김명환 화학연 차세대이차전지전략연구단장을 임용했다고 28일 밝혔다. 김 단장은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등을 역임한 배터리 분야 민간 대표 전문가로 평가된다.
김 단장은 1996년 LG화학 초대 배터리개발팀장으로 임명된 후 국내 최초 리튬이온전지 원천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성공해 100% 수입에 의존하던 기술을 내재화했다. 2000년대에는 중대형 전지 분야를 개척해 이차전지 종주국인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초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상용화에 성공했다. 그는 또 글로벌 산업표준 기술이 된 안전성 강화 분리막(SRS) 개발, 세계 최초 3성분계 NCM523 양극재 개발 및 원통형전지 적용, 세계 최초 하이니켈 양극재의 자동차용 전지 적용, 주요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전기차용 전지 개발·양산 등 핵심기술 확보에도 기여했다.
과기정통부는 특히 민간 출신의 김 단장 주도의 민·관 협력을 통해 출연연의 R&D 역량 혁신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 단장이 맡은 국가특임연구원은 출연연의 공공기관 해제 후 채용 절차, 보수 수준 등에 자율성을 부여, 출연연이 파격적 보수와 특별채용 조건을 앞세워 고급인재를 적극 영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김윤수 기자 sook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