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국내 은행그룹의 대손충당금 적립률 국제 비교와 시사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주요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률(CR)이 해외 주요 은행들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 오히려 은행의 성장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한국금융연구원의 '국내 은행그룹의 대손충당금 적립률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은행을 보유한 KB·신한·하나·우리·BNK·JB·DGB금융그룹의 CR은 약 158%로, 글로벌 주요 은행그룹 평균(97.4%)을 크게 웃돌았다.
CR은 은행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부실채권에 대비해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는지를 보여준다. 통상 이 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채권 발생 시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은행의 CR이 지속해서 글로벌 주요 은행그룹의 평균을 웃돌았으며 유럽과 일본, 호주 등 주요국 은행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김우진 선임연구위원은 "미국계 은행그룹의 CR이 높아진 것은 코로나 19로 인한 예기치 못한 대출 부실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충당금을 확정적으로 적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국내외 관행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국내 은행그룹의 글로벌 평균을 크게 웃도는 충당금 적립 수준은 내부의 가용 자본을 축소해 성장을 저해한다고 평가했다. 그뿐만 아니라 배당 여력을 감소시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흐름에도 부정적인 역할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금융그룹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과도한 충당금 적립보다는 다소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중위험·중수익 비즈니스 모델로 경영전략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금융그룹의 건전한 발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선 CR 지표뿐 아니라 리스크를 고려한 수익률 관리를 추진하는 등 리스크 관리 능력의 전반적인 제고가 수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