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스크 이어 2번째
러시아 벨고로드 지역에서 전차를 수리 중인 러시아군. 타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영토에서 본격적으로 작전을 벌이는 건 지난해 8월 러시아 쿠르스크주 일부 지역을 기습적으로 점령한 이후 첫 사례다.
이번 우크라이나군의 공세는 휴전 협상의 중요한 카드인 쿠르스크 지역에서의 전술적 수세를 타개하기 위한 작전으로 보인다. 다만 영토 점령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뱌체슬라프 글래드코프 벨고로드 주지사는 27일(현지시간) 텔레그램 메시지를 통해 “지난 하루 동안 우크라이나군이 포탄 161발과 드론 39대를 동원해 벨고로드 내 6개 지역을 공격했으며 민간인 1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은 이 같은 피해가 발생했지만, 우크라이나군을 격퇴하고 국경을 지키고 있다는 입장이다.
벨고로드는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러시아 서부 지역으로,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한 쿠르스크와도 이웃한 땅이다.
이번 작전에는 500명 미만의 대대가 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병력 규모는 적지만 미국이 지원한 브래들리 전차도 수십 대를 무장한 최정예 부대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군은 벨고로드 진입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와 전면 휴전에 합의하기 전까지 자국 영토로 진입한 우크라이나군을 모두 쫓아내고 도네츠크와 루한스크를 비롯한 기존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최대한 넓히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러시아군은 쿠르스크에서 공세를 강화해 우크라이나에 내줬던 지역을 70% 이상 탈환했다. 아울러 국경 너머인 수미 등지로 군을 진입시키는 등 쿠르스크에서 버티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을 고립시키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벨고로드 작전을 통해 쿠르스크 탈환에 집중하던 러시아군의 병력을 분산시키고 향후 정전 협상에서의 협상 카드를 추가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올레시아 호리아이노바 우크라이나 안보협력센터 공동설립자는 텔레그래프에 “러시아 방어선을 새로 뚫은 우크라이나군은 전술적 위치를 개선하고 주도권을 다시 확보했다”며 “러시아가 자신의 계획을 강요하지 못하게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존 하디는 “러시아가 이번에는 대비가 잘 돼 있는 것 같다”며 “작전의 규모도 이전보다 확연히 작다”고 관측했다.
이번 우크라이나군의 작전 성패는 시간에 좌우된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부족한 병력을 추가 투입하기 어려운 데다 미국의 지원을 얻기 어려운 상황에서 공세종말점에 빠르게 도달할 거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