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물산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
롯데케미칼은 일본 소재기업 레조낙 지분 4.9%를 2,750억원에 매각해 추가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이는 롯데케미칼이 지난 2020년 매입한 레조낙 지분 전량입니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매각과 그간 확보한 배당금을 합쳐 약 800억원의 차익을 실현했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악화한 석유화학시장 환경 속에서 비효율 사업 및 자산 매각을 중심으로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이달 6일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지분 49% 중 25%에 대해 주가수익스왑(Price Return Swap, 이하 PRS) 계약을 맺어 6,5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작년 10월 미국 법인 지분 40%를 활용해 확보한 6,600억원을 더해 총 1조3천억원의 유동성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파키스탄 법인은 979억원에 매각했습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유동성 우려'를 잠재운 데 이어 전 부문에서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은 지난 11일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와 롯데렌탈 지분 56.2%를 1조5,800억원에 매각하는 본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지난달에는 롯데웰푸드 증평공장에 이어 세븐일레븐 편의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의 현금인출기(ATM) 사업부(구 롯데피에스넷)를 매각해 600억원 이상 유동성을 확보했습니다.
호텔롯데는 3천300억원 규모의 L7 강남 바이 롯데 등 비효율 자산 매각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롯데쇼핑과 호텔롯데는 지난해 자산재평가를 실시한 결과 손상차손을 제외하고 각각 8조7천억원, 8조3천억원 규모로 자산이 증가했습니다.
이번 자산재평가를 통해 양사는 12조6천억원의 '자본 확충'이 이뤄졌습니다.
#롯데 #롯데케미칼 #레조낙 #매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