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사 단기 신용융자 이자 7~8%
통상 3~6%보다 최대 2배 높아
가산금리 높여 투자자 부담 키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증권사들이 하루만 주식투자금을 빌려도 최고 8%의 이자율을 적용하는 배짱 영업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초부터 신용거래 융자 잔액이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일부 증권사들이 초단기(1~7일) 기간에도 고금리를 부여해 배를 불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 60곳 중 신용융자 사용 기간 1~7일의 이자율이 7%를 넘는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신영증권·유진투자증권·케이프투자증권·하나증권 등 총 5곳이다. 이 기간 미래에셋증권과 신영증권의 이자율은 각각 7.5%(비대면), 8%(대면)다. 유진투자증권과 케이프투자증권은 모두 7.5%(대면·비대면) 이자율을 적용했다. 하나증권은 대면 방식일 경우 7.8%, 비대면은 7.9% 금리를 부과했다.
신용융자 거래는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일정 기간 자금을 빌려 주식을 사는 것이다. 통상 장기간 자금을 빌린 투자자일수록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 반면 7일 안팎의 단기 기간 이자율은 높지 않다.
업계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등 시장금리가 하향했지만 증권사들이 ‘가산금리’를 높이는 방식으로 단기 자금 보유자에게도 이자 부담을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신용융자 이자율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합쳐 산출하기 때문에 가산금리가 높아질수록 뛸 수밖에 없다. 이자율(1~7일 기준)이 높은 하나증권과 신영증권의 가산금리는 각각 4.69%, 5.11%였던 반면 같은 기간 삼성증권과 KB증권의 가산금리는 각각 1.98%, 1.92%였다.
윤지영 기자 yjy@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