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8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백브리핑을 통해 "산불 대책에 필요한 예산이 있다면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예산이 얼마고 추가로 필요한 예산이 얼마인지 등을 제안하는 게 원칙일 것이다. 그런데 그런 얘기는 전부 생략하고 예비비를 늘려야 한다고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사진=뉴스핌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진 정책위의장은 "더구나 민주당이 (예산을) 삭감했기 때문에 산불 대책을 충분히 할 수 없다면서 예비비를 증액해야 한다는데, (국민의힘은) 산불 이전에도 민주당이 추경을 제안하자 처음에는 부인하다가 나중에는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추경하려면 민주당이 삭감한 예산을 전부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왜 예비비 증액에 목을 매다는 것인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최상목 경제부총리에게 준 문건의 첫 번째 항목이 '예비비를 충분히 확보할 것'이었다. 예비비 확보 주장이 내란에 소요되는 예산을 확보하려는 것이었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쌈짓돈 꺼내듯 쓸 수 있는 예비비를 증액하자는 건 산불대책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목적 예비비 1조6000억원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목적 예비비 가운데 정부부처 재난대책비 9700억원, 일반 예비비 8000억원을 산불 대책 예산으로 쓸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국고 채무 부담으로 1조5000억원을 추가로 조달할 수 있어 총4조8700억원을 가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목적 예비비 가운데 4000억원만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민주당이 목적 예비비 중 1조원은 고교 무상교육 사업에, 2680억원은 만 5세 무상교육 사업에 사용하도록 예산총칙에 규정해뒀다는 것이다.
진 정책위의장은 "거부권을 행사했던 법안을 합의처리하고 해당 예산을 본예산에 추경으로 편성, 목적 예비비 꼬리표를 떼내면 될 것이다. 그러면 별도로 예비비를 증액하지 않아도 산불 대책 등 재난대책비로 사용할 수 있는 문이 만들어진다"고 했다.
정부부처 재난대책비 9270억원에 대해서는 "야당으로서는 9270억원의 실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다. 얼마나 집행됐는지 저희도 추가로 확인해보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지적한 9270억원보다 훨씬 적은 규모로 재난대책비를 파악하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