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 강화로 침체 장기화
블랙록, 헐값에 건물 모두 처분
중국 부동산 시장의 불황이 장기화되자, ‘큰손’들이 빠르게 떠나고 있다. 블랙록은 지난해 말에도 중국 내 오피스 빌딩 한 채를 40% 이상 손실을 보고 처분했고, 중국 부동산 신규 투자를 사실상 중단했다. 블랙록의 아시아 부동산 투자를 담당했던 임원 존 손더스는 2023년 말 회사를 떠났다.
그래픽=이진영 |
지난 1월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는 상하이·쑤저우·청두·충칭 등에 있는 쇼핑몰 4개 지분 49%를 중국 다자보험그룹에 매각했다. 홍콩의 부동산 개발업체 파크뷰그룹도 베이징 중심가의 복합 쇼핑몰인 팡차오디를 낮은 입주율을 이유로 매물로 내놨다. 시장 분석 업체 MSCI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외국 자본의 신규 부동산 매입 규모는 59억달러로, 2014년 이후 최저치다. 같은 기간 외국 자본이 매각한 부동산 규모는 이보다 큰 69억달러에 달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2020년 말부터 시행된 부동산 개발업체에 대한 규제 강화와 코로나 이후 지속된 경제 둔화로 인해 장기 침체에 빠진 상황이다. 중국 대도시의 사무실 공실률은 올해 20% 이상 기록할 전망이고, 주요 도시의 사무실 임대료는 전년 대비 10%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 초 중국 내 신규 주택 착공 건수는 전년 대비 약 30% 감소했고, 신규 주택 가격은 21개월 연속 하락세다.
홍보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더우인(틱톡의 중국 버전) 등 소셜미디어에선 정장을 차려입은 중개업자들이 라이브 방송으로 아파트를 홍보하고, 노래나 춤, 코미디 쇼를 선보이고 있다. 우한시에선 ‘AI(인공지능) 부동산 중개업자’가 등장해 아파트 내부를 생중계하며 고객들의 질문에 실시간 응답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