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미국서 대안 찾기 활발
테슬라, 불매운동에 리콜·중국 시장 부진 겹쳐
작년 12월 이후 시총 반 토막
일론 머스크(왼쪽)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주 웰스파고센터에서 악수하고 있다. 필라델피아/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페이스X와 테슬라 등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기업들이 커다란 위험에 직면했다. 머스크 CEO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산산조각낸 사이 그의 기업들은 정치 리스크와 과열 경쟁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영국 주간 이코노미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만 해도 미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우주탐사 기업이었다. 지난해 전 세계 우주선 발사 가운데 6분의 5를 이 기업이 수행했다. 또 스페이스X가 자랑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는 우주 위성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스페이스X는 입지를 잃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이유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스타링크 지원 중단을 위협해온 머스크 CEO를 향한 신뢰 문제다. 과거 머스크 CEO는 “내가 스타링크를 차단하면 우크라이나군 전선 전체가 무너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후 논란이 커지자 “스타링크에서 우크라이나를 끊어내겠다고 위협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더 큰 경쟁사는 미국에 있다. 아마존의 인터넷 서비스 프로젝트인 카이퍼다. 카이퍼는 3000개 넘는 위성을 저궤도에 배치해 우주 기반 광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코노미스트는 “아마존이 목표를 달성한다면 미국 밖 일부 고객은 변덕스러운 머스크 제품보다 아마존 제품을 더 신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자동차 시장에서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현재는 현대자동차와 함께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배터리 전기차 공급사 자리를 두고 경쟁하고 있다.
반면 테슬라는 뒷걸음질 치고 있다. 투자은행이자 테슬라 강세론자인 RBC캐피털마켓은 테슬라의 북미 전기차 판매 점유율이 2년 전 68%에서 올해 53%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경쟁사를 견제하기 위해 가격을 인하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했고 최근 접착제 문제로 미국 내 거의 모든 사이버트럭이 리콜되는 사태가 벌어지는 등 상황은 좋지 않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의 미래도 암울하다. 중국 업체 BYD는 자국에서의 시장 점유율이 15%에 달한다. 이는 테슬라의 3배가 넘는 수치다. 2월 테슬라 중국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9% 급감했지만, BYD는 161% 증가했다.
[이투데이/고대영 기자 (kodae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